제30회 근대사 인물 추모 학술강연회
안동청년유도회(회장 정상인)에서는 2021. 11. 6.(토) 오후 2시 경상북도 유림회관 4층에서 “하회마을 사람들의 항일투쟁 - 義兵에서 光復軍까지”이란 주제로 제30회 근대사인물 추모 학술강연회를 주관한다. ▶ 대주제 : 하회마을 사람들의 항일투쟁 - 義兵에서 光復軍까지 - 1주제 : 하회마을 사람들의 항일투쟁과 민족사적 의의 (강윤정 안동대학교 교수) - 2주제 : 의열단 제2차 국내 대거사와 하회인들 - 류시태, 류병하 (김용달 국민대학교 겸임교수) 안동은 조선 말기 의병 항쟁을 비롯하여 1894년부터 광복을 맞은 1945
2021-11-03

안동대,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설립 및 학술지 발간
국립안동대학교(총장 권순태) 무역학과 이성규 교수는 2012년 9월에 설립한 「한국공공선택학연구소」를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Korea Public Choice Study and Saemaul Undong Education Institute)로 명칭을 변경하고 초대 소장으로 임명됐다. 이 연구소는 공공선택(Public Choice) 분야의 학제적(學際的)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선택학’(公共選擇學)의 발전에 기여하고,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위대한 유산인 ‘새마을운동’을 내·외국인들에게 교육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
2021-11-03

안동대 AI융합학과, 4차 산업시대 선도 실무형 전문인력 양성
국립안동대학교 공과대학 AI융합학과(구 멀티미디어공학과)는 2022학년도부터 교과과정을 개편한다. 이번 교과과정 개편은 AI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글로벌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기존의 멀티미디어공학과와는 다른 AI 기술과 융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멀티미디어 분야의 우수한 역량을 갖춘 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학과 명칭 변경과 함께 이뤄진다. 2022학년도 AI융합학과는 입학생과 재학생들에게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VR/AR 등 4차산업혁명의 핵심 역량이 될 수 있는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 논리회로
2021-11-03

한국자연재난협회 경상북도지부 창립 기념 포럼 개최
사단법인 한국자연재난협회 경상북도지부(회장 남영만)는 11월 5일(금)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약3시간 동안 안동상공회의소 3층 대회의실에서 “기후변화와 경북지역 자연재난 대응방안”이란 주제로 창립기념 포럼을 개최한다. 한국자연재난협회 경북지부는 폭염, 한파, 가뭄, 홍수, 태풍과 같은 현상으로 자연재난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는 기후위기 시대에 자연재난에 대해 기상, 기후, 환경, 지진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관점으로 그 재해 특성을 분석하고 진단과 예측 기법을 개발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자 설립된 법인으로 지난 8월 정식
2021-11-02

경상북도지체장애인협회 ‘여성활동가보수교육 및 인권지킴이단 연수회’ 실시
(사)경북지체장애인협회(협회장 박선하, 이하 경북협회)는 지난10월 28일(목), 산하 22개 시·군지회 여성활동가들 100여명을 대상으로 「제1차 여성활동가보수교육 및 인권지킴이단 연수회」를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여성활동가보수교육 및 인권지킴이단연수회는 매년 시·군지회에서 활동하는 여성회원들을 대상으로 집합교육을 실시해 인권교육, 소양교육, 정보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을 대표하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에는 교육을 진행하지 못하고 올해는 줌(Zoom)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되
2021-11-02

이육사문학관 갤러리 “지리산 시인 이원규 사진 초대전 <별나무>” 개최
이육사문학관 갤러리에서는 11월 2일(화)부터 “지리산 시인 이원규의 사진 초대전 <별나무>를 전시한다. 이원규 시인은 지난 7년 간 ‘우린 우리의 별을 봐야한다.’는 일념 하나로 전국 각지를 누비며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별들을 사진에 담아왔다. 그렇기에 그의 사진은 우리에게 친숙한 아름다움이다. 하지만 우리가 쉽게 잊고 있었던 절경이다. 불빛이 화려한 도시에서는 좀처럼 별을 볼 수 없다. 하지만 그 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언제나 우리 곁에 함께 있던 별, 이원규 시인은 이렇듯 우리가 느끼지 못했던
2021-11-02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공동체문화연구사업단, ‘제6회 지역협력 네트워크 컨퍼런스’ 개최
국립안동대학교(총장 권순태) 민속학연구소 공동체문화연구사업단(소장 이영배)은오는 4일부터 5일까지 지역산학협력관에서 ‘제6회 지역협력 학술네트워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공동체문화연구사업단의 공동 연구 2단계를 맞이해 현장 연계형 소통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커먼즈의 실천과 대안가치: ‘밝은누리’ 공동체>라는 주제로 대학원 민속학과 4단계 BK21교육연구팀(팀장 이진교)과 공동으로 진행된다. 권범철 박사의 ‘공통계와 사회 전환’라는 주제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밝은누리 공동체 구성원들의 ‘밝은누리의 역사적
2021-11-02

제7회 독도(울릉도) 기념품·디자인 공모전, 안동공예문화전시관 김기덕 장려상 수상
경상북도, (재)독도재단이 주최하고 대구·경북공예협동조합이 주관하는 제7회 독도(울릉도)기념품·디자인 공모전에서 안동공예문화전시관 내 안동공예사업협동조합 김기덕(비나리아토)의 “한글을 이용한 울릉도. 독도 기념품”이 장려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하였다. 독도(울릉도)기념품·디자인 공모전은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한국의 아름다운 섬, 독도”를 전세계에 알리고 독도(울릉도)의 아름다움을 홍보하여 국민들의 사랑과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 공모전이다. 외국인도 참여 가능하며 독도(울릉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역사적 사실 등 독도(
2021-11-02

안동공예문화전시관 박금화 ‘2021년 제7회 전통공예상품공모전’ 특선, 입선 수상
안동공예문화전시관 박금화(금포고택공방)가 ‘대한민국전통기능전승자회’에서 주관하고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이 후원하는 ‘2021년 제7회 전통공예상품공모전’에서 안동포 무삼짜기와 안동포 공예품으로 특선과 입선, 2개의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 무삼은 굵기 때문에 생냉이처럼 새의 구분이 없다. (새가 높을수록 고운 원단) 사라져가는 전통의 맥을 잇고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생활용품으로 새로이 재조명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씨실을 염색하여 단조로움을 보완하고 멋스럽고 심미성을 갖추어 국내는 물
2021-11-02

안동공예문화전시관 임방호 ‘2021 대한민국 글로벌브랜드’ 사회문화부분 大賞 수상
안동공예문화전시관 임방호(쇠노리)가 ‘글로벌뉴스통신’이 주최하는 ‘2021 대한민국 글로벌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 글로벌뉴스 통신은 ^2021대한민국 글로벌브랜드 대상^ 심사위원회가 심사하고 최종수상자를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수상대상은 4차산업 혁명시대의 대한민국 혁명성장브랜드 성장동력 가치를 인정받은 정치, 지방자치, 국제, 국방, 경영,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의약분야에서 국회의원, 교수, 기관, 지방자치의원, 가수, 기업대표 등 63명(단체포함)이며 시상식은 2021년 10월 22일부터 코로나19로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