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6,993건)

안동시,‘마곡서당과 당고사의 마을, 사신’발간
안동민속박물관은 2012년부터 안동지역의 마을을 조사·연구해 ‘마을민속지’를 간행하는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2019년에는 사신마을 사람들의 공동체 생활 문화와 민속을 조사해 그 결과물로, 제7집 ‘마곡서당과 당고사의 마을, 사신’을 발간했다. 마을민속지 제7집 ‘마곡서당과 당고사의 마을, 사신’은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장 이용범 교수를 책임연구원으로 12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완성했다. 수록된 내용은 마을의 역사와 경관 ‘이진교, 안진수’, 자연마을을 조화롭게 운영하는 사회조직 ‘이상현’, 과수 농사에서 약초 재배로
2019-04-24

전국 유일의 여성 축제, 안동에서 열린다.
전국 유일의 여성 축제 ‘제17회 여성 민속 한마당’행사가 4월 27일(토) 12시 30분부터 웅부공원과 문화공원에서 펼쳐진다. 이번 행사는 안동문화원이 주관하며, 안동놋다리밟기보존회, 안동시여성단체협의회, 안동예절다도연구회, 내방가사전승보존회, 한국여성문화생활회 등 20개 단체 200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는 여성 축제의 장이다. 지역에서 오랫동안 내려오던 여성 민속을 한자리에서 직접 보고, 체험하면서 함께 참여해 즐길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이날 행사는 민속행사와 전시·체험행사, 경연대회 등으로 나누어 개최된다. 민속행사(4종
2019-04-24

안동학, 알고 싶고 보고 싶은 안동문화 알리기
안동시와 한국국학진흥원은 지역학으로서의 ‘안동학(安東學)’ 육성을 위해 2001년부터 현재까지 <안동학 연구>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올해 19년 차에 접어들며 내년이면 20주년을 맞이한다. ‘안동학’은 1993년 '서울학' 연구가 시작된 뒤 두 번째 지역학으로 출발했다. 인구 16만 명에 불과한 중소도시인 경북 안동을 연구하는 안동학이 ‘부산학’(2003년 시작), ‘인천학’(2002년 시작), ‘대전학’(2003년 시작) 등 대도시를 연구하는 지역학보다 일찍 시작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오랜 전통의 유?무
2019-04-24

봉정사를 찾는 관광객에게 무료로 진달래화전 제공
안동시는 매달 주제를 정해 “테마가 있는 관광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1월 ‘얼음 축제’, 2월‘선비정신’, 3월‘독립운동’에 이어 4월의 관광 테마는 ‘봄꽃 여행’으로 정하고 추천 관광지를 선정해 전략적인 홍보에 나선다. 4월의 가볼 만한 곳은 ▲하회마을 ▲봉정사 ▲안동벚꽃축제(낙동강변 벚꽃 거리) ▲신세동 벽화마을 ▲영호루 ▲도산서원 ▲안동민속촌(월영교, 호반나들이길) ▲온뜨레피움 ▲만휴정(지례예술촌) 9곳이다. 작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봉정사는 문화재로서의 명성 외에도 봄마다 ‘진달래 꽃길’이 펼쳐지는 봄꽃 명
2019-04-23

우리 악기 생황으로 전하는 “생(笙)의 노래”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일상에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문화가 있는 날 콘서트’가 안동문화예술의전당 백조홀에서 상설 공연으로 진행하고 있다. 특히 안동문화예술의전당은 문화시설의 문턱을 낮추고 국민 생활 속 문화 향유를 확산하기 위해 관람료를 헌옷, 헌책, 가방 등의 재활용품 기증으로 대신해 전국 공연장의 귀감 사례가 되고 있다. 이번 4월 ‘문화가 있는 날 콘서트’에는 신비로운 우리 악기 생황으로 전하는 향수 어린 크로스오버 공연 ‘우리 악기 생황으로 전하는 생(笙)의 노래’가 24일 저녁 7시 30분 백조홀에서 열린다. 생황은
2019-04-23

안동 팔경·구곡 문화 아카데미 성황리 개최
안동시와 한국국학진흥원은 4월 17일과 18일, 양일간에 걸쳐 안동 팔경 및 구곡 문화 아카데미를 실시했다. 안동팔경 및 구곡문화 아카데미는 ‘알수록 넓어지는 안동, 안동에 살어리랏다’라는 슬로건으로 40명의 교육생이 참가했다. 고려에서 근대까지 안동의 역사 문화 현장을 탐방하고, 농암종택 종손과 함께 도산구곡 예던 길을 걸으며 안동의 옛 모습과 이야기를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교육은 태사묘, 임청각, 부용대, 도산구곡 등 고려에서 근대까지 안동의 주요 역사 문화 현장에서 강의가 진행됐다. 특히 도산구곡을 따라 걸으며 선비
2019-04-23

퇴계 선생 마지막 귀향길 800리 재현단, 도산서원 매화가 반기다
퇴계선생 귀향길 450주년 재현행사가 12박 13일의 800리 대장정을 마치고 도산서원에서 폐막행사를 가졌다. 지난 4월 10일 봉은사에서 개회식을 시작으로 1569년 선생께서 선조임금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어렵사리 허락을 받아 생애 마지막 고향 도산으로 향하던 길을 450주년 되는 올해 그대로 재현했다. 21일 마지막 걷기 행사에는 퇴계 선생 16대 종손이자 도산서원운영위원장 이근필 종손을 비롯해 권영세 안동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광림 국회의원, 김종길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장과 수련원 관계자들, 시민이 함께했다. 걷기 일정을
2019-04-22

광대폭발! 감동폭발! ‘연극 수상한 흥신소’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연극시리즈 ‘수상한 흥신소’가 오는 19일(금) 오후 7시 30분과 20일(토) 오후 3시, 7시 백조홀 무대에 오른다. ‘수상한 흥신소’는 2010년 처음 공연한 이후 200만 명 이상 관람한 최고의 스터디셀러 연극으로 삶의 희로애락을 적절히 표현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귀신을 보는 능력을 가진 자타공인 백수 고시생인 오상우가 우연히 만난 영혼의 제안으로 정체불명의 흥신소를 개소하고, 갑작스레 죽은 영혼들이 살아생전 못한 일을 대신 해결하거나 소원을 들어주며 겪게 되는 이야기를 담은 코믹연극이다. 수시로 터지는 웃
2019-04-18

‘대웅전 삼존불 복장식 및 점안 대법회’봉행
불기 2583년 4월 18일(목) 오전 10시 길안면 천지리에 소재한 전통사찰 선찰사(주지 법진스님) 대웅전에서 ‘대웅전 삼존불 복장식 및 점안 대법회’를 봉행한다. 이날 행사는 제16교구(본사 고은사)장을 비롯한 선찰사 신도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점안식은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종교 의례로서 개안식이라도 한다. 불상·불화·석탑·불단 등을 만들거나 개수하였을 때, 이에 공양하고 그 불구(佛具)의 근본서원(根本誓願)을 개현(開顯)하게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애초 선찰사 법당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석가
2019-04-18

안동시,「제3회 BOOK적 BOOK적 시민독서 한마당」개최
안동시립도서관은 4월 20일(토) 13시 웅부공원에서 독서문화 진흥을 위해 시민이 책과 함께 즐기고 어울릴 수 있는『제3회 안동시립도서관 BOOK적 BOOK적 시민독서 한마당』행사를 개최한다. 도서관을 홍보하고 독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해 4월과 9월 2회에 걸쳐 추진해 많은 시민의 호응을 얻었던 이 행사는 올해에도 제55회 도서관주간 표어인“도서관, 어제를 담고 오늘을 보고 내일을 짓다”라는 주제와 함께 시민 누구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전시 및 포토존을 마련했으며, 시민이 자율적으로 판매하는‘중고도
2019-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