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와 용의 배틀(battle)로 생긴 폭포 본 사진과 도연폭포는 아무런 상관이 없음. 1. 도연폭포 이 폭포는 망천에서 반변천을 따라 10㎞ 정도 올라가면 있었는데 지금은 임하다목적댐 건설로 수몰되었습니다. 이곳은 길안면, 임동면, 임하면의 경계 지점으로 안동 팔경 중 으뜸으로 경치가 매우 아름다웠습니다. 이 폭포는 물줄기 밑이 마치 움푹한 질그릇 모양처럼 생겼다고 도연폭포라 하며 폭포 밑의 소(沼)는 명주구리 하나를 푼다고 할 정도로 깊다고 합니다. 또한 그 속에는 천년 묵은 이무기가 산다고도 전합니다. 이 폭포는 그 높이가 4
2010-08-19
인터뷰/기고 (172건)
1. 희방사 희방사는 경북 영주시풍기읍 수철리에 있는 사찰로 희방사 역에서 동북쪽으로 4km 정도 되는 소백산 기슭 해발 850m에 사찰입니다.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에 두운대사가 세운 것으로 전합니다. 중앙선 희방사역에서 동북쪽으로 약 4km 떨어진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희방폭포는 소백산맥의 연화봉(1,383m)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는데, 높이 28m로 내륙지방에서 가장 큰 폭포입니다. 폭포가 떨어지는 계곡엔 숲과 그늘과 바위덩어리가 펼쳐져 있으며 폭포 바로 위에는 희방사가 있습니다. 2. 희방사 건립에 대한 이야기 지
2010-08-12
아기장군의 비명(非命) 1. 이야기가 전하는 곳 의성군 안사면 만리 2리(萬里二里)의 웃만이골 깊은 산중. 2. 전하는 이야기 예전에 이 곳에 아기 장군이 태어났는데 후환이 두려워 그 부모는 아들을 죽여 없애버렸다는 기막힌 전설이 있습니다. 가난하고 무식하고 한없이 약하게 살아오던 수원 백씨(水原 白氏)의 집에서 해산을 하니 기골이 준수한 아들인데 성장의 속도는 기적에 가까우리만큼 빨라서 얼마 지나지 않아 종횡무진으로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이웃이 두려워하고 멀리까지 소문나니 역적이 날 조짐이 아닌가 하고 수군대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2010-08-05
1. 별신굿이란 ? 일반적으로 정월 대보름에 마을신에게 제사를 지냅니다. 대체로 마을 제사는 제물을 차려 놓고 축문을 읽고 제관이 절을 하며 소지를 올리는 유교식(儒敎式)으로 지냅니다. 우리조상들은 매년 똑같은 음식을 차려 놓고 똑같은 방법으로 마을 제사를 지내면 마을신이 기뻐하고 즐거워하지 않는다고 하여 3ㆍ5ㆍ7년에 한번씩 특별히 성대하게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별신굿이라 합니다. 우리 선조들은 신(神)을 즐겁게 해 주면 복(福)을 준다고 믿었기 때문에 별신굿 때 마을신을 모셔서 기쁘게 했습니다. 2. 전하는 곳 이 별신굿은 안동
2010-07-29
1. 이야기가 전하는 곳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산 일대 2. 전하는 이야기 조선조 순조 때 영양군 청기면 당동에는 우씨 성을 가진 젊은 청년이 일찍 홀몸이 된 어머니를 모시고 외롭게 살고 있었습니다. 아버지로부터 물러 받은 오두막집과 얼마 되지 않은 땅마지기만으로 농사를 지으며 오직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았습니다. 어느덧 나이가 찬 우씨 청년은 이웃 마을의 평해황씨의 마음씨 고운 처녀와 혼인하고, 외롭게 자라온 지난날을 생각하며 아내를 극진이 사랑하며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귀여운 아들과 딸 남매를 낳고 기르면서 세월 가는 줄 모르고 행
2010-07-22
7월 15일 오후 2시 문경시실내체육관에서 문경시여성단체협의회(회장 신호자)주관으로 『2010 여성주간 기념식 및 여성한마음 대회』가 신현국 시장, 고오환 의장, 시의원, 도의원, 이현희 경찰서장, 임창호 교육장을 비롯한 각급단체장과 18개 여성단체회원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됬다. 제15회 여성주간을 맞아 여성의 사회ㆍ경제적 활동 참여를 지원하고 양성 평등과 미래 비전을 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지난해 이어 두 번째로 문경시 여성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식전 행사는 풍물굿패의 난타공연으로 막이 열리고, 여성주간
2010-07-14
1. 영등신이란? 영등신은 우리 지역에서는 영등할매라고 합니다. 일기가 불순하면 농작물이 피해를 입고 일기가 순조로우면 풍작을 바랄 수 있었는데 영등할매는 바람과 농작의 풍흉과 관계 되는 농신(農神)의 성격을 가집니다. 또한 영등할매가 지상에 머물러 있는 동안은 거센 바람이 일어 난파선이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부들은 이 기간 동안은 출어를 삼가며 일을 쉽니다. 2. 영등할매는 언제 왔다가 언제 가는지? 영등할매는 바람을 일으키는 신으로, 천계에 살고 있다가 2월 초하루에 지상에 내려와서 20일에 다시 천상으로 올라간다고
2010-07-12
이석희 * 작가명 : 이석희(Lee Seok Hee) * 계명대학교 서양화과 졸업(‘92) * 개인전 3회(대구 동양갤러리, 대구북구문화회관,영주시민회관) * 그룹전 150여 회 출품, mbc 미술대전 등 공모전 * 2009 아트신데전(대구봉산문화회관 ), 신세기청년 작가회(안동시민회관) * 그룹 나비전(영주시민회관), 개인전(영주시민회관), 영주작가회전(영주시민회관) * 영주 미협전 * 현 영주 미협회원, 아트신데 회원,.영주작가회 회원, 신세기 청년작가회 회원 * 주소 : 경북 영주시 평은면 오운 2리 789 번지 고현분교 *
2010-04-26
1. 종가소개 종부가 사는 계서종택(溪西宗宅)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가평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부석사가 자리 잡고 있는 봉황산 줄기의 끝자락으로 풍수지리상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이 종택은 광해군 5년(1613년)에 지어진 전형적인 조선시대 사대부 가옥이다. 2. 종부이야기 ◆ 종부와의 만남 사과가 붉게 익어가는 초가을, 구불구불한 산길을 돌아 찾아간 곳은 봉화군 물야면 가평리에 위치하고 있는 창녕성씨(昌寧成氏) 계서공파(溪西公派)의 종가이다. 계서 성이성(成以性, 1595~1664)선생은 춘향전으로 잘 알려진 이몽룡의 실
2010-04-21
대구가 고향인지라 어릴 적부터 팔공산을 지척에 두고 산과 들에 있는 오래된 사찰이나 유적지를 대하며 살아왔다. 자연히 대구 지묘동 소재 신숭겸장군 유적지를 수시로 돌아보게 되었고 몇 해 전 드라마를 통해 주군을 위해 목숨을 초개와 같이 바치는 장면에선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충의를 살신성인의 몸으로 보여준 장군의 후예가 사는 종가를 취재하는 것에 대해 약간 흥분하는 마음이 없는 것도 아니다. 평산 신씨의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으로 벽상공신 삼중대광 태사에 오른 신숭겸(申崇謙)이다. 그의 초명은 능산으로 태봉의 기장으로 있다가
201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