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녹용은 어떤 약인가요? A: 녹용은 사슴의 뿔인데요. 사슴의 뿔은 늦봄에 저절로 떨어지는데, 그 자리에 새로운 뿔이 자랍니다. 이렇게 다시 자라기 시작한 뿔을 녹용이라고 합니다. 녹용은 부위에 따라 가장 끝부터 분골, 상대, 중대, 하대로 분류되는데요. 전통적으로 녹용의 끝 부분인 분골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여겨졌고, 실제 성분 연구에서도 아미노산, 단백, 성장인자 등 다수 성분이 분골에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장작용이 강한 약인데 단순한 피로개선 및 항산화가 아닌,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동물연구
2019-01-22
한방칼럼 (631건)
1) 태양인의 외모나 특색은 어떤가요? A: 우선 태양인은 우리 전 국민의 1%만을 차지하는 아주 귀한 체질입니다. 태양인은 가슴과 상복부를 내민 거만하고 자만스러운 모습이라고 합니다. 배꼽 위로 항상 바지를 끌어올리고 오금이 뒤쪽으로 꺽어진 듯 구부러져 있다고 외모를 표현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키는 그렇게 크지 않고요. 고 박정희 대통령이나 나폴레옹 등이 태양인의 외모와 가깝습니다. 2) 네. 바지를 끌어 올려 입는 것은 옷 입는 특성을 말하시는 건가요? A: 네. 태양인들은 확실한 것, 단정한 것을 좋아합니다. 요즘 신세대들의 힙
2019-01-15
1) 사상체질 중 소음인이라면 주로 몸이 차고 소화기능이 떨어지고 흔히 인삼이 맞는 체질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맞습니까? A: 네. 소음인의 체질과 몸에 좋은 음식을 소개할 때 인삼은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흔히 소음인은 몸이 차고 기가 약해 소화기능이 부실한 체질입니다. 따라서 소음인은 얼마나 몸을 따뜻하게 보해주느냐에 따라 소화능력이 상승되기도 하고 급격히 떨어지기도 합니다. 때문에 기를 보충하고 복부와 손발을 따뜻하게 해줄 수 있는 음식이 좋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대표적 강장음식인 인삼과 여름철에 많이 드시는 삼계탕
2019-01-08
1) 소양인은 어떤 체질인가요? A: 소양인은 외모나 특성으로 태음인과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태음인은 두눈이 항시 아래를 향한다라고 하는 반면에 소양인의 눈은 반사적이어서 쏘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합니다. 소양인들은 눈이 부리부리해서 대화를 할 때 눈을 똑바로 쳐다봅니다. 서 있는 자세가 목을 쳐 들고 바라본다고 하였으며 걸을 때는 두 팔을 앞뒤로 흔드는 것이 아니고 팔을 등 뒤쪽으로 젖혀 흔들며 걷는다고 하였습니다. 예전 양반들의 팔자 걸음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눈빛이 부리부리하고 눈을 똑바로 쳐다보는군요. 태음인들이
2019-01-02
1) 한의학에는 사람이 체질을 가지고 있다라고하여 한의원에 가 보면 열이 많다던지 몸이 차다던지 얘기를 많이 듣는데요. 체질 분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체질별로 건강관리법 등을 소개해 주세요. A: 네, 한의학에서 체질론은 진단과 치료에 아주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데요. 많이들 알고 계시는 사상체질은 체질을 네가지로 나누는 것입니다. 이제마에 의해서 창안됐고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하고 체질적 특성에 따른 생리, 병리, 진단, 치료와 약물을 구분했습니다. 이 외에도 오행체질 팔상체질 등 품부받고
2018-12-26
1) 한의학에는 사람이 체질을 가지고 있다라고하여 한의원에 가 보면 열이 많다던지 몸이 차다던지 얘기를 많이 듣는데요. 체질 분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체질별로 건강관리법 등을 소개해 주세요. A. 네, 한의학에서 체질론은 진단과 치료에 아주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데요. 많이들 알고 계시는 사상체질은 체질을 네가지로 나누는 것입니다. 이제마에 의해서 창안됐고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하고 체질적 특성에 따른 생리, 병리, 진단, 치료와 약물을 구분했습니다. 이 외에도 오행체질 팔상체질 등 품부받고
2018-12-18
1) 허리가 아픈 요통, 원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허리가 아픈 이유는 많습니다. 그래서 환자분들의 발병동기를 들어보고 통증양상을 분별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크게 나눠서 염좌, 신경근 압박, 골절 정도로 분류해 볼 수 있겠습니다. 과격한 운동을 하다가 혹은 무거운 것을 들다가 소위 ‘허리가 삐끗하는 것’이 염좌에 해당하는데요. 허리 주변 근육, 인대 등 연부조직 손상을 동반합니다. 다음으로 신경근 압박인데, 조금 생소하게 들리실 수 있겠는지만 흔히들 알고 계시는 디스크,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해 신경근 압박이 생길 수 있습니
2018-12-11
1) 대상포진은 어떤 질환인가요? A. 대상포진은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면서 신경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피부에 특징적인 발진과 수포를 발생시키며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어린 시절 수두를 앓고 난 후, 수두 바이러스는 사라지지 않고 신경절 속에 잠복해 있다가 몇 년 후 재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을 일으킵니다. 2) 대상포진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수두바이러스와 동일한거라고 봐도 되는건가요? A. 네 그렇습니다. 수두 바이러스와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동일한 바이러스로 수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어 대상포진이 발병하면
2018-12-04
1) 요즘같은 환절기에 구안와사 환자들이 많아진다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A. 일교차가 심한 날씨일수록 감기와 알러지성 비염, 중풍 등 환절기 각종 질환이 많이 나타납니다. 구안와사도 이 때 쉽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데요. 바이러스에 의한 구안와사가 많기 때문에 환절기에 환자가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입이 돌아갔을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중추성인지 말초성인지의 구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중추성은 후유 장애를 남기기 때문에 신경계의 진단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말초성인 경우는 주로 외래 치료를 하게 됩니다. 2) 구안와사는 고령자분들
2018-11-27
1) 한의학의 체형 구분과 그에 따른 생활방법을 소개해 주세요. A. 한의학은 전인론을 근거로 출발합니다. 자연의 섭리와 인체의 변화가 일치한다는 이론인데요. 봄에 만물이 자라나기 시작하고 여름에 그 생장이 제일 활발해지며 가을에 수렴해서 겨울에 수장하는 것을 보고 목화토금수라는 오행의 기운이 사람에게서도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이것이 사람 몸의 기질을 형성하는데도 관여하고 있다고 본 것입니다. 기질의 강하고 약함에 따라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우리 몸이 좋아하는 것은 약한 기질을 강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
2018-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