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910건)

동병하치와 삼복첩
1) 한의학적으로 무더운 삼복날에 ‘동병하치’ 라는 치료법이 있다는데요. 동병하치 치료법이 무엇인가요.? A: 동병하치란 ‘겨울병을 여름에 치료한다’ 는 뜻입니다. 활동량이 많아지고 이제 이번주 금요일이면 일년 중 절기상으로 가장 덥다는 삼복 가운데 첫 번째인 초복이 시작되는데요. 여름을 얼마나 지혜롭게 보내느냐에 따라 올 겨울 건강이 좌우된다는 이론이 한의학에는 있습니다. 이를 동병하치(冬病夏治)라고 합니다. 겨울동, 질병병, 여름하, 치료할 치 자를 씁니다. 2) 겨울병을 여름에 치료한다는 말이군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는
2019-07-08

구내염의 한방치료
1) 구내염이라면 입안에 생긴 염증인데요. 보통 주변에서 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구내염이 나타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구내염의 원인은 어떤게 있을까요? A: 의학적으로 구내염은 구강점막에 궤양이 생긴상태를 말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유력한 설은 구강내 면역기능의 저하입니다. 입안은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고,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해야 하므로 인체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미생물과 전투를 벌이는 최전방지대라는 것이기에 여러가지 원인으로 면역력 등 인체 방어기능이 떨어지면 가장
2019-07-02

족저근막염의 한방치료
1) 족저근막염은 무엇이고 증상은 어떻습니까? A: 발 뒤꿈치에서부터 시작해서 발바닥 앞쪽으로 발가락 밑에 붙은 섬유가 족저근막입니다.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데 큰 역할을 해주는데, 여기에 반복적인 손상을 입어서 콜라겐이 변성되고 염증이 발생한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발을 딛을 때 너무 아프다’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단순한 보행에도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주로 발꿈치 안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서 있을 때 뻣뻣한 느낌이
2019-06-25

상황버섯의 효능
1) ‘우리가 늘상 먹는 음식과 약은 근본이 같다’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평소 먹는 음식이 중요하다는 말인 것 같은데요. 오늘 설명해 주실 상황버섯도 우리가 늘상 옆에 두고 먹으면 좋은 약이 될 수 있겠군요? A: 네. 흔히 약이라 하면 상약, 중약, 하약으로 구분합니다. 이중 상약이라 함은 우리가 늘상 먹을 수 있는 약으로서 독성이 없어 상시 복용할 수 있는 약입니다. 중약이라 함은 어떤 증상에 대해 약을 쓰고 그 증상이나 질병이 해결이 되면 중지해야 되는 약입니다. 하약이라 함은 독성이 있는 약으로서 사용 자체에 신중을 기해야
2019-06-18

갱년기와 골다공증
1) 갱년기 라고 하면 흔히 폐경 전후의 여성들 특유의 육체적 정신적 변화로 알고 있는데요. 짜증이 난다던지 눈이 아프고 잠이 안오고 온몸이 뻐근하고 진땀이 나고 숨이 차다고 하는데, 흔히들 갱년기라고 말하는 증상인가요? A: 네. 폐경기 전후의 여성에게 나타나는 특유의 육체적 정신적 변화를 갱년기 장애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 연령은 평균 47.6세로 난소의 기능이 임신 능력을 상실하여 월경이 끝나는 여자에 있어 노년기로 접어드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말씀해 주신 증상이 다 속하고요. 얼굴이 붉어지고 식은땀
2019-06-11

여름철 감기
1) 감기는 어떻게 걸리게 되나요? A: 감기는 바이러스 질환으로서 바이러스 침투 시 인체의 저항력에 따라 감염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감기를 위기의 불화 즉 체온관리의 실패로 보고 있는데요, 사람의 인체는 겨울이나 여름이나 체온을 항상 36.5도로 유지하고 있는데, 이렇게 체온을 유지하려면 우리 몸의 피부가 끊임없이 체표를 지키는 역할을 계속 해 주어야 합니다. 날씨가 더우면 창문을 열어 바람이 통하게 하고 추우면 창문을 닫아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것처럼 우리 몸의 피부가 창문 역할을 잘 수행해야
2019-06-04

역류성식도염의한방치료
1) 신물이 올라와서 병원에 갔다가 역류성식도염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 분들을 흔히 보게 되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이란 것이 어떤 병입니까? A: 식도의 4개의 협착부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횡경막 협착부는 식도와 위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는 하부 식도 괄약근이라는 것이 있어서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 기능을 못하여 위산이나 펩신 등의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면 식도의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식도 점막의 궤양과 출혈을 일
2019-05-28

다낭성난소증후군
1)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어떤 질환인가요? A: 여성은 한 달에 한 번씩 정상적으로 월경을 합니다. 이 주기는 사람마다 차이가 나서 26일에서 35일까지의 범주를 가지지만, 월경주기가 지나치게 길거나 2~3개월 이상 무월경인 경우 혹은 초경부터 불규칙한 월경주기를 유지했다면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정상적인 여성은 월경주기마다 8개에서 10개의 난포가 만들어져 이 중 1개만이 성숙 난포로 자라 난자를 배출하는데요, 다낭성난소의 경우는 미성숙 난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자라나 배란 없이 퇴화해 월경시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배란
2019-05-21

담석증의 한방치료
1) 담석증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A: 네. 쓸개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쓸개에 농축되어 있다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어 소화작용, 특히 지방의 소화작용을 돕는 매우 중요한 소화액입니다. 담석이라 하면 이러한 쓸개즙의 내용물인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이 침전,응결되어 생긴 것인데요. 콜레스테롤이 침전되면 황녹생의 콜레스테롤성 담석이 되고, 빌리루빈이 침전되면 갈색의 색소성 담석이 만들어 집니다. 쓸개에 가장 많이 생기지만 간혹은 간에서 쓸개로 내려오는 통로 즉 담관에 생기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담석이 생겨나는 원인은 쓸개즙을 만드는
2019-05-14

하지정맥류
1) 외견상으로 다리에 푸른색 혈관이 울퉁불퉁 튀어나온 분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요. 하지정맥류는 상세히 어떤건가요? A: 하지정맥류란 하지정맥의 일방판막의 기능 장애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포함한 어떤 원인으로든 하지의 표재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고 꼬불꼬불해져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이“힘줄이 튀어나왔다”라고 표현하시는데요. 초기에는 외관상의 미용적인 문제 외에 별다른 불편감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점차 진행하게 되면 부종과 다리에 쥐가 나고 통증과 저림 등 여러 가지 합병증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보통 하지정맥류
2019-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