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칼럼 (631건)

한방칼럼 - 현훈의 예방과 치료
Q : 오늘은 한의학과 동양학의 대표적 원리인 음양이론에 대해서 살펴볼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신지섭 한의사와 전화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흔히 음양 음양 하는 데요. 음양이론에 대해 설명해 주시고 또한 음양이론이 한의학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해주세요. A : 네. 오늘 주제는 아주 흥미로운 주제인데요. 한의학의 근본이론인 음양이론과 음양이론이 일상생활이나 건강에는 어떻게 적응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면 동전은 하나이지만 음과 양으로 각각 상대되는 두면으로 되어 동전의 앞면이 있어야만 뒷면이 있듯이 음과 양은 절대
2011-04-05

한방칼럼 - 중이염의 예방과 치료
Q : 중이염의 종류와 치료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우선 중이염이 어떤 질환입니까? A : 중이염은 귀 고막의 안쪽 부분인 중이(中耳)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만성 중이염은 고막이 천공(구멍이 뚫림)된 증세를 보이는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고막의 천공 유무와 관계 없이 진주종 형성이 나타나는 진주종성 만성 중이염으로 나뉩니다. Q : 급성과 만성.삼출성 중이염 으로 나눌 수 있군요. 증상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 급성중이염은 이관의 기능
2011-03-29

한방칼럼 - 현훈의 예방과 치료
Q : 매주 월요일에는 한방정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지럼증, 현훈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 : 어지럼증은 한자로 현훈(眩暈)이라고 하는데, 현(眩)은 시야가 흐리고 어둡게 느끼는 것을 말하며 훈(暈)은 머리가 어지럽게 움직이는 느낌을 의미합니다. 현훈(眩暈)이란 용어는 '어지럽다'는 간단한 증상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물체가 빙글빙글 돌게 느껴지는 회전성의 어지러움증, 그 밖에 비회전성 비틀거림, 무력감, 눈이 침침함, 아찔하여 넘어지거나 실신, 머리가 텅 비거나 멍한 느낌, 메스꺼움, 창백, 진땀 등
2011-03-22

한방칼럼 - 역류성식도염
Q : 보통 어깨가 아파서 잘 들어올리기 힘든 질환 “오십견”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오십견이 어떤 병입니까? A : 오십대 전후에 많이 발병한다하여 이름 그대로 붙여진 “오십견”은 한마디로 어깨가 굳어 움직이기 힘들고 어깨가 굳으면서 극심한 통증을 수반하는 질환입니다. 이 중에서도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 바로 어혈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어혈은 혈액순환이 잘 안 돼 혈이 굳어져 뭉친 것으로 이 어혈이 어깨관절 주위에 모여서 굳게 하고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병의 증상과 특징을 보고 마치 어깨가 얼어 붙은것 같다고 하여
2011-03-15

한방칼럼 - 역류성식도염
Q : 주변에서 신물이 올라와서 병원에 갔다가 역류성식도염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 분들을 흔히 보게 되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이란 것이 어떤 병입니까? A : 우리 몸의 식도라는 것은 말 그대로 음식물을 운반하는 길과 같은 것인데요. 입이서 섭취한 음식물을 위까지 전달하는 고속도로인 셈이죠. 식도의 길이는 성인의 경우 25센티이고 4개의 협착부와 3개의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개의 협착부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횡경막 협착부는 식도와 위가 직겁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라는 것이 있어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2011-03-09

한방칼럼 - 한방 정보
Q : 오늘은 <감의 떫은맛>을 주제로, 말씀을 나눠보겠습니다. 중국에서는 술안주에 감을 내지 않는 관습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동흥한의원> <신지섭 원장>과 전화 연결해서 자세한 말씀 듣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감을 술안주로 쓰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A : 술이란건 우리 정신과 육체를 흥분시키는 성질이 있어 흥을 돋구어 줍니다. 그러므로 기분이 좋을때 말도 적당히 하면서 술을 마시면 우리 기분과 술 성질이 잘 맞아 떨어져서 술도 잘 받고 깨기도 잘 합니다. 반면에 기분이 나쁠때 억지로 마셔 놓으면 술
2011-02-28

한방칼럼 - 입이돌아갔어요 구안와사
Q : 날씨가 쌀쌀한 요즘, 자고 일어났는데 입이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는다? 통상 ‘입이 돌아갔다’라는 표현으로 알려진 구안와사입니다. 노년층에서 많이 생기는 줄로만 알았는데 요즘 들어 젊은 층에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A : 구안와사는 중풍으로 인한 중추성 구안와사와 안면신경손상으로 생기는 말초성 구안와사로 나뉩니다. 중추성일 경우 팔이나 다리 등 사지마비의 중풍 증상을 수반하지만 말초성은 팔 다리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따라서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구안와사는 대개 말초성입니다.
2011-02-22

자궁외임신을예방하자
Q : 오늘은 한방정보 시간입니다. 신지섭 한의사와 전화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궁외임신”에 대해서 알아보겠는데요. 조금 생소한 이름인 자궁외임신은 어떤 것인가요? A : 최근의 영국의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35세가 넘으면 25세에 비해 임신하기가 6배 정도 어려워진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여성들에게 안전하고 확실한 출산 연령은 25세에서 35세 사이로 나타났는데요. 영국의 경우 여성들의 평균 임신연령은 1968년 23세에서 오늘날엔 29.3세로 크게 늦어지고 있는데요. 이렇듯 사회가 변함에 따라 임신연령과 현
2011-02-15

손발이 찬것과 더운것
Q : 어떤 사람들은 사시사철 손이 차서 악수하기 미안해 하며, 또 어떤 사람들은 손발에 열이 심해 찬물에 담그거나 차가운 벽에 갖다 대기를 좋아하는데요? 손발이 찬 것이 한의학적으로는 어떤 의미를 갖습니까? A : 보통 한의원에서 진맥할 때 양 손바닥으로 환자의 손을 덮어서 손등과 손바닥이 찬지를 같은지 다른지부터 보게 되는데요. 이는 손이 따뜻한지 찬지가 갖는 의미가 인체의 생리건강상태를 진단하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는것인데요. 보통 사람은 여름에는 손이 덜 따뜻하고 겨울에는 손이 따뜻합니다. 이것은 확실히 바깥 기온의 영향인데요
2011-02-07

한방칼럼 - 튼튼한 아이를 낳는 법
Q: 희망이자 미래인 우리 아기. 아이를 둔 부모님께는 아기가 그저 건강하고 씩씩하게 크는 것만큼 바라는 것도 없을 것입니다. 오늘은 튼튼한 아기를 낳는 법, 그리고 아이를 튼튼하게 키우는 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 안녕하세요? 오늘은 튼튼한 아이를 낳는 법, 그리고 아이를 튼튼하게 키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가 아프면 부모님의 걱정은 커져만 갑니다. 아무 세상 근심도 없는 그야말로 먹고 자고 천진난만하게 성장해야 할 어린아이가 왜 아플까요? 첫째, 아이가 약하게 태어난 데 원인이 있습니다.
201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