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910건)

한방칼럼 - 당뇨병에 좋은음식과 운동요법
Q :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시간에는 당뇨병에 좋은음식과 운동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관리에 필수적인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에 대해서 알려 주십시오. A : 네. 우선 식이요법에 대해서 설명드릴텐데요. 지난시간에 말씀드린데로 술과 면류의 섭취를 줄입니다. 그리고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이시는게 좋고요. 쌀, 보리, 옥수수 등의 주곡으로 전분류 음식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흰 쌀밥 보다는 잡곡밥이 좋고요 특히 콩은 부식으로 아주 적당한데요. 서목태(쥐눈알콩, 콩을 쪼개면 초록빛이 돕니다) 라는 콩은 특히 당뇨에 대해 일정부분 효과가 있
2011-05-03

음식문화지도 - 아침 메뉴 언양식불고기
지난 토요일 아침 메뉴로 언양식 불고기를 제공했습니다. 우리가 이른바 '~식'이라고 하면 흉내, 모방한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원조가 아니라는 것이죠. 흔히 보는 음식점 간판 앞에 '원조'라는 말도 그 집만이 진짜라는 것을 강조하잖아요. 어찌되었건 아침 메뉴로 제공한 불고기는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고기를 잘 먹지 않던 여학생도 잘 먹었다는 것이 그 증거라 할 수 있겠네요. 흉내낸 언양식 불고기는 아래와 같이 만들어졌습니다. 급식메뉴로는 공정이 많아서 어렵다고 생각하겠네요. 제가 해본 결과로는 혼자서 100인분은 충분히
2011-04-27

한방칼럼 - 당뇨병2
Q : 저번 시간에 당뇨병의 종류와 내당능이상에 대해 설명하 주셨는데요. 당뇨병을 한방에서는 소갈병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요. 설명부탁드립니다. A : 당뇨는 동의보감에서는 소갈병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음식을 잘 분해하면서 몸이 여위고, 갈증이 나면서 물을 많이 마시는 병증입니다. 소갈에 “소”자는 태운다는 뜻이며 “갈”자는 입이 마른다는 표현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소갈병을 갈증이 심한 소갈, 소화기능이 항진되어 많이 먹는 소갈, 소변을 자주 보고 탁하고 끈적끈적한 소갈병으로 세가지로 분류하고 있고 치료법도 세가지로 구분되어 있
2011-04-26

한방칼럼 - 당뇨병
Q : 당뇨병을 선진국 병이라고 하고 최근 들어 당뇨병 환자가 많이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하는데요. 당뇨병이 치료가 되는지.. 완치 되었다는 경우는 드문 걸로 알고 있는데요. A : 네. 오늘부터 3주간은 당뇨병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당뇨 치료가 어렵다고 하는데 한방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소갈병에 접근하는지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치료 이전에 당뇨병에 대해서 잘 아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오늘 시간은 전반적인 당뇨의 종류와 원인,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당뇨에는 두가지 유형이 있는데, 인슐린의 분비량이
2011-04-19

한방칼럼 - 오행에 따른 체질분류
Q : 오늘은 한의학과 오행, 그리고 체형의 구분과 그에 따른 생활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행이론에 대해 알아보며 또한 오행이론이 한의학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 : 네. 오늘은 오행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오행이라는 것은 자연의 목화토금수 다섯 가지 기운을 뜻하는 것인데 이런 오행의 기운이 우리 몸의 기질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기질의 강하고 약함에 따라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우리의 몸이 좋아하는 것은 약한 기질을 강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몸이 하고자하는
2011-04-13

한방칼럼 - 현훈의 예방과 치료
Q : 오늘은 한의학과 동양학의 대표적 원리인 음양이론에 대해서 살펴볼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신지섭 한의사와 전화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흔히 음양 음양 하는 데요. 음양이론에 대해 설명해 주시고 또한 음양이론이 한의학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해주세요. A : 네. 오늘 주제는 아주 흥미로운 주제인데요. 한의학의 근본이론인 음양이론과 음양이론이 일상생활이나 건강에는 어떻게 적응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면 동전은 하나이지만 음과 양으로 각각 상대되는 두면으로 되어 동전의 앞면이 있어야만 뒷면이 있듯이 음과 양은 절대
2011-04-05

포토벨 - 사진 빛의 세기를 열다
2009년 여름이 끝날 무렵 예술의 전당 디자인미술관에서 ‘20세기 사진의 거장 전’이라는 주제로 사진전이 열렸다. 20세기 초에 주도적인 시각예술매체로 부상한 ‘사진’이라는 기술은 유럽의 예술가들을 매료시키기에 모자람이 없었다. 그들은 사진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하였고, 사진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순수한 빛의 아름다움에 빠져들었다. 사진이야말로 그들이 살아가는 새로운 환경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가장 적합하고 전위적인 매체라고 믿었다. 그 시대에 실험 정신으로 이루어진 매력적인 시도들은 이제 모든 분야의
2011-04-04

한방칼럼 - 중이염의 예방과 치료
Q : 중이염의 종류와 치료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우선 중이염이 어떤 질환입니까? A : 중이염은 귀 고막의 안쪽 부분인 중이(中耳)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만성 중이염은 고막이 천공(구멍이 뚫림)된 증세를 보이는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고막의 천공 유무와 관계 없이 진주종 형성이 나타나는 진주종성 만성 중이염으로 나뉩니다. Q : 급성과 만성.삼출성 중이염 으로 나눌 수 있군요. 증상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 급성중이염은 이관의 기능
2011-03-29

한방칼럼 - 현훈의 예방과 치료
Q : 매주 월요일에는 한방정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지럼증, 현훈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 : 어지럼증은 한자로 현훈(眩暈)이라고 하는데, 현(眩)은 시야가 흐리고 어둡게 느끼는 것을 말하며 훈(暈)은 머리가 어지럽게 움직이는 느낌을 의미합니다. 현훈(眩暈)이란 용어는 '어지럽다'는 간단한 증상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물체가 빙글빙글 돌게 느껴지는 회전성의 어지러움증, 그 밖에 비회전성 비틀거림, 무력감, 눈이 침침함, 아찔하여 넘어지거나 실신, 머리가 텅 비거나 멍한 느낌, 메스꺼움, 창백, 진땀 등
2011-03-22

한방칼럼 - 역류성식도염
Q : 보통 어깨가 아파서 잘 들어올리기 힘든 질환 “오십견”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오십견이 어떤 병입니까? A : 오십대 전후에 많이 발병한다하여 이름 그대로 붙여진 “오십견”은 한마디로 어깨가 굳어 움직이기 힘들고 어깨가 굳으면서 극심한 통증을 수반하는 질환입니다. 이 중에서도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 바로 어혈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어혈은 혈액순환이 잘 안 돼 혈이 굳어져 뭉친 것으로 이 어혈이 어깨관절 주위에 모여서 굳게 하고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병의 증상과 특징을 보고 마치 어깨가 얼어 붙은것 같다고 하여
201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