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칼럼 (631건)

한방정보-수족냉증의 한방치료
Q1) 요즘처럼 바람이 매서울 때는 평소 손발이 찬 사람들은 더욱 곤욕일텐데요. ‘수족냉증’ 이란 어떤 겁니까? A : 한의학에서는 전신 이나 혹은 특정 신체부위가 약해서 유독 추위를 더 많이 타는 증세를 '냉증'이라고 부릅니다. 그 중에서 신체의 다른 부분은 전혀 차가움을 느끼지 않는 실온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특정부위, 주로 손발이 차가움을 느끼는 것을 ‘수족 냉증’이라 일컫고, 그밖에 무릎이나 허리와 배가 시린 경우도 흔합니다. 물론 날씨가 추워질수록 증세는 조금 심해집니다. Q2) 네 그렇군요. 수족냉증은 여성분들이 호소하는
2013-11-27

한방정보-과민성 대장 증후군
Q1) 지속적인 설사난 변비로 병원을 찾고 과민선 대장 증후군이라는 진단명을 받으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제는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병이 된 것 같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어떤 병인가요? A : 변비나 설사는 누구에게나 쉽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심코 넘겨버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반복된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과민성 장염’, ‘과민성 장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환은 전체인구의 약 7~15% 정도가 앓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지만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어 혼자서 끙끙 앓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도
2013-11-19

한방정보-갱년기와 골다공증
Q1) 갱년기 라고 하면 흔히 폐경 전후의 여성들 특유의 육체적 정신적 변화로 알고 있는데요. 짜증이 난다던지 눈이 아프고 잠이 안오고 온몸이 뻐근하고 진땀이 나고 숨이 차다고 하는데, 흔히들 갱년기라고 말하는 증상인가요? A: 네.폐경기 전후의 여성에게 나타나는 특유의 육체적 정신적 변화를 갱년기 장애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 연령은 평균 47.6세로 난소의 기능이 임신 능력을 상실하여 월경이 끝나는 여자에 있어 노년기로 접어드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말씀해 주신 증상이 다 속하고요. 얼굴이 붉어지고 식은땀
2013-11-12

한방정보-우울증의 한방치료
1) 우울증이라고 하면 정신질환의 일종인데요. 우울하다란 기분은 누구나 다 한번씩 느껴 보는 감정일텐데 우울증이라는 질병이 우선 어떤 질환인지요? A:‘우울’이라는 정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슬픈 감정상태와 심한 정신병적 상태를 양극으로 하는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설명되고 있는데, 이러한 우울이 비정상적으로 심하거나 지속될 때, 우울증이라는 기분 장애가 주축이 된 정신 장애가 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쉽게 얘기한다면 한 마디로 “아, 우울해. 혹시 우울증 아닐까?” 하고 가볍게 말하는 경우는 우울증이 아니란 뜻입니다. 우울증은 우울한 정서
2013-11-05

한방정보-찬음식중독증
1) 흔히 “찬음식이 면역력에 안 좋다”라는 말을 듣는데요. 찬음식이 몸에 안 좋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차가운 음식으로 위장이 차가워지면 면역계가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0℃에 가까운 정도로 찬 음식을 일상적으로 자주, 많이 먹으면, 장의 소화기능이 약화되고 회복불능의 상태로까지 갈 수도 있습니다. 곧, 차가운 음식이 주는 한랭자극이 면역의 중요한 조혈기관이 있는 장관계를 직격하여 면역계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의 몸은 본래 36.5℃ 전후에서 가장 기능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영양의 소화흡수를 담당하는 장관계
2013-10-29

한방정보-수승화강의 원리
1) 우선 “수승화강” 하니까 말이 좀 생소하고 어려운것 같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우리 몸에는 두 종류의 에너지가 있는데 따뜻한 불의 에너지(火氣)와 차가운 물의 에너지(水氣)가 그것인데, 우리 몸이 건강 상태를 유지하려면 수기는 위로 올라가고 화기는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면서, “이 수승화강의 균형이 깨지면 인체가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며 건강에 적신호가 발생한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수승화강(水升火降), 두한족열(頭寒足熱)은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내려오는 건강법 중 하나인데요. 우리 선조들은 이미 오
2013-10-22

한방정보-가을철 운동법
1) 한의학에서 가을철 관리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가을철에는 백로후부터 시작하여 우수까지 양기는 점점 줄어드는 계절이고 천기는 조(건조)를 주관한다고 말합니다.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기온의 변화가 매우 발리 진행되므로 질병이 발병하기 시작하는 계절입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가을양생법은 조기조침입니다. 가을철에는 일찍 잠자리에 들고 일찍 일어나야 합니다. 일찍 잠자리에 들어서 음을 수장할 수 있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양기를 더 많이 받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한 봄철에는 몸을 가리고 가을철에는 몸을 차게하라. 그러면 병이
2013-10-15

한방정보-역류성 식도염의 한방 치료
1) 신물이 올라와서 병원에 갔다가 역류성식도염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 분들을 흔히 보게 되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이란 것이 어떤 병입니까? A : 우리 몸의 식도라는 것은 말 그대로 음식물을 운반하는 길과 같은 것인데요. 입이서 섭취한 음식물을 위까지 전달하는 고속도로인 셈이죠. 식도의 길이는 성인의 경우 25센티이고 4개의 협착부와 3개의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개의 협착부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횡경막 협착부는 식도와 위가 직겁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라는 것이 있어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거꾸로 넘
2013-10-01

한방정보-명절 후 증후군
1) 오랜만에 친구나 친척들을 만나서 술도 마시고 풍성한 한가위의 음식도 먹다가 보면 과식,과음하게 되어 연휴내내 혹은 직장에 복귀한 후에도 피로감이 지속되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식상,주상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한의학에서 체하는 것. 어떻게 보시나요? 한의학에서 음식에 상한다고 보는 것은 크게 둘로 나뉩니다. 첫쨰는 소화기의 기능이 약해서 소화시킬 능력이 떨어진 것이고, 둘째는 지나치게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이 위장에 부담을 주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첫째의 경우 소화기의 기능을 보해줘야 하는 것이고, 둘째의 경우가 우리가 명절에
2013-09-24

한방정보-명절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
1) 추석이나 설날에 찾아오는 명절증후군이라는게 있다는데요. 명절 때 스트레스로 몸 여기저기가 아프고 피로감이 가중된다는데요. 명절증후군은 병으로 봐야하나요? A : 명절이 지나고 나면, 명절 때 받았던 스트레스로 인해서 화병이 생기거나, 과다한 가사노동으로 여기 저기가 아픈 증세로 치료를 받으러 한의원에 오시는 분들이 특히 많은데요. 뭐 명절 때 스트레스로 인한 일종의 증후군. 현상이라고 봐야겠고 특별하지 않은 이상 얼마후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84% 정도가 명절증후군을 겪은 적이
2013-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