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름휴가 시즌에 고열을 동반한 감기로 고생해본 기억이 다 들 한번씩은 있을텐데요. 요즘 들어 여름철 감기환자가 예전보다 많이 눈에 띄는데요. 이유가 있을까요? A: 한의학에서는 감기를 "위기의 불화" 즉 체온관리의 실패로 보고 있는데요. 사람의 인체는 눈이 오는 겨울이나 더운 여름이나 체온을 항상 36.5도 로 유지하고 잇습니다.이렇게 체온을 유지하려면 우리 몸의 체온이 끊임없이 체표를 지키면서 유지하는 역할을 계속 해 주어야 하는데요. 날씨가 더우면 창문을 활짝 열어 바람이 통하게 하고 추우면 창문을 꼭꼭 닫아 찬바람이 들어
2014-08-12
칼럼 (910건)
1) 여름철 무더위에 특히 복통을 동반한 설사 증세를 경험해 보신 분들이 많을텐데요. 병원에서는 찬음식을 먹고 생긴 설사라는 말을 듣게 됩니다. 차다는 의미의 ‘한’자를 써서 ‘한복통’이라고 하는데 설명부탁드립니다. A: 한방문헌을 보면 '머리는 차서 오는 병이 없고, 배는 뜨거워서 오는 병이 드물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은 자연현상에서처럼 더운 기운은 위로 올라가고 찬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인데요. 여름철에 배를 차게 해서 발생되는 배탈은 한의학적으로 한복통(寒腹痛)에 속합니다. 한복통을 치료하려면 배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
2014-08-05
Q1 : 개개인이 체질이 틀리기 때문에 요즘 같은 무더운 시기에 관리법이 다 틀리다고 하는데요. 소개해 주십시요? A : 오늘은 일년중 가장 덥고 양기가 성한 삼복 중 중복인데요. 예년보다 무더운 기온으로 여름질병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는데요.우선 태음인 들은 땀을 흘려야 건강한 체질이므로 냉방병에 가장 취약합니다. 에어콘의 과도한 사용으로 기온차를 극복하지 못해 두통, 몸살 등의 냉방병이 발생하는 데요. 태음인들은 적당한 운동과 외출을 통해 신체 내부의 마음과 기운이 원활히 소통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반면 태양인과 소음인 체질
2014-07-28
Q1 : 요즘 같이 무더운 때 사상체질 별로 여름 운동법을 소개해 주신다고요? 우선 사상체질에 대해서 알아야 할텐데요. 태양인,소양인,태음인,소음인 네가지 체질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요. 우선 태양인의 특징과 운동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1 : 태양인은 체내에 열이 많아 여름에 손발이 뜨거운 경우가 많지만 더위를 많이 타는 체질은 아닌데요. 몸 안으로 기운을 모으기 보다는, 몸 밖으로 발산하는 기운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태양인은 기운을 많이 소모하는 운동을 하면 쉽게 지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위를 많이 타진 않지만 여
2014-07-22
Q1. 한의학적으로 무더운 삼복날에 ‘동병하치’ 라는 치료법이 있다는데요. 동병하치 치료법이 무엇인가요. ‘동병상련’과 관계있는건가요? A: 동병하치란 ‘겨울병을 여름에 치료한다’ 는 뜻입니다. 동병상련은 같은 병이 있는 환자들이 서로 비슷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이기 때문에 ‘같을 동’ 자이고 오늘 소개해 드릴 ‘동병하치’는 ‘겨울동’ 자입니다. 활동량이 많아지고 이제 이번 주말이면 일년 중 절기상으로 가장 덥다는 복날이 시작되는데요. 여름을 얼마나 지혜롭게 보내느냐에 따라 올 겨울 건강이 좌우된다는 이론이 한의학에는 있습니다. 이를
2014-07-15
1) 여름에는 너무 찬것 보다 오히려 몸을 데워주는 삼계탕이나 따뜻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하셨는데요. 여름철 건강관리법에 대해 소개해 주시죠. A: 네. 여름철이 되면 더운 날씨 때문에 병이 걸리는 것이 아니라 너무 덥다고 몸을 차게 만드는 바람에 체온조절의 실패로 냉방병과 같은 병이 걸린다고 했는데요. 이에 최고의 한의학 서적인 동의보감에서는 “사철중에 여름이 조섭하기 가장 힘들다. 여름엔 늙은이 젊은이 할 것 없이 다 더운 음식을 먹어야 한다. 더운 음식을 먹는 다면 가을이 되어서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지 않는다
2014-06-25
1) 인슐린이라는 물질은 보통 우리 몸의 당수치를 낮추는데 쓰이는 물질로 알고 있는데요. 저인슐린 다이어트란 것은 무엇입니까? A : 체중조절 또는 체형관리를 위해 요즈음 유행되고 있는 다이어트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보통 먹는 음식의 종류를 가리거나 양을 줄이는 방법이고, 둘째는 아예 끼니를 대신하는 대체식을 섭취하는 방법이고요, 셋째는 식사의 양을 줄이거나 이와 관련된 영양소를 제공한다는 보조식품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 들은 오랜 시간을 두고 전세계적으로 개발된 방법 들인데요. 이러한 이론과 한국인에
2014-06-17
1) 칡뿌리가 한약재로 많이 쓰인다고 하는데요. 보통 숙취해소에 칙즙이나 차를 복용해 본적은 있을텐데요. 칡뿌리는 어떤 효능이 있는지요? A: 칡은 한약재명으로 ‘갈근’이라고 하는데요. 이 갈근 즉 칡뿌리는 역사가 아주 오래된 약재인데요. 한의학이 태동하면서부터 연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맛은 약간 달짝찌근 하면서 혀 끝이 아린 정도의 매운맛이 있고 또 쓴맛도 같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칡은 그 뿌리가 굉장히 깊어 보통 손으로 뽑긴 힘든 경험을 해 보셨을텐데요. 포크레인 까지 동원해서 칡뿌리를 캐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땅으로
2014-06-10
1)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을 소화하는 기관인 소화기에서 특히 신경성 소화기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신경성소화기질환의 관리법에 대해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A: 국내에서 발표되는 의학논문에 의하면 위장계통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 중에 신경성으로 분류되는 환자가 매우 많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불규칙한 생활패턴, 일상생활의 여러 스트레스 등은 위장계 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시행할 수 있는 검사, 방사선이나 내시경 상에서 어떤 검사법으로도 기질성 병변이 발견 되지 않는데도 환자가 소화기 계통의 증상
2014-05-27
Q1 : 주변에서 천식 때문에 고생하는 분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천식의 한방치료에 대해서 설명해 주십시오? A : 천식이란 기관지가 정상인보다 민감해서 조그마한 자극에도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생기는 병입니다. 천식에 대하여 한의학의 최고 의서인 내경 '소문素問'에 이미 '천호喘呼''천명喘鳴'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영어로는 asthma라고 하는데 그리스어로 숨차다, 헐떡인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과거에는 천식을 '천명喘鳴을 동반한 발작적인 호흡곤란의 증상'으로 정의 했습니다. Q : 네. 숨차다.헐떡이다. 천식의 증상이
2014-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