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어린이들은 어른들 보다 아무래도 증세에 대한 표현이 약하기 때문에 진료나 치료에 힘들것 같은데요. 소아과 질환을 잘 다스리기 위한 방법이 있을까요? A: 요즘은 생활수준이 예전과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좋아진데다가 아이가 1 명인 가정이 늘다 보니 아이를 더욱 애지중지 키우게 됩니다. 저희들은 어렸을때 부모님들이 많이 낳아 힘들게 키우시고 울든말든 방치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요즘은 어머니들이 워낙 빨리 우는 원인을 해결해 줘 버립니다. 그러나 너무 귀하게만 키우는 게 꼭 아이를 위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전에 어려운 시절에
2016-12-06
한방칼럼 (631건)
Q1) 두통 환자분들을 보면 겨울철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는데요. 이유는 무엇입니까? A : 본격적인 겨울 한파가 시작되면서 건강관리에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몸은 갑작스러운 추위에 노출되면 신체 면역력이 떨어져 다양한 질환에 걸리기 쉬운데요. 여기에는 두통도 포함되는데, 추운 날씨로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올라가면서 뇌압이 증가돼 생기는 현상이다. 고혈압 환자 뿐 아니라 평소 건강했던 사람들도 갑자기 추워지면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만성 두통 환자 분들 중에 특히 겨울이면 심해지는 두통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계
2016-11-29
Q1) 일상생활에서 한쪽 손발이 저리거나 혈압이 높거나 뒷목이 뻣뻣하거나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겪는 증상이 있을 때 이러다 뇌졸중으로 쓰러지진 않을까 걱정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중풍오는거 아닌가? 라고 얘기할 만큼 중풍은 공포의 질환인데요. 한쪽 팔다리가 저리면 중풍이 올 수 있는건가요? A : 팔다리가 저리다고 모두 뇌졸중, 즉 중풍의 전조증세가 되는 것은 아니겠지요. 그렇지만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저림 증세가 생길 때는 중풍전조증으로 혈관상태를 알려주는 아주 중요한 정보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매체나 보도로도 중풍은 많이 알
2016-11-22
Q1)몸이 좀 붓는다는 현상은 누구나 다 경험해 봤을텐데요. 궁금한 것이 몸이계속 부어서 남들이 살이 쪗다라는 얘기를 듣기도 하는데요. 몸이 붓는것과 비만이 상관 있나요? A: 몸이 자주 붓는다면 잠재적인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조금만 먹어도 속이 더부룩한 느낌이 들고, 몸이 쉽게 부으면서 그 부종이 몸의 사이즈를 늘리고, 결국엔 몸무게까지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치료되지 않고 정체된 부종은 비만의 원인이 되겠네요. 조금만 먹어도 더부룩한 느낌이 들고, 몸이 쉽게 붓게 되고, 그 부종이 몸의 사이즈를 느리게
2016-11-15
1) 혈관성 두통. 이름 그대로 혈관의 장애. 혈액순환에 부족으로 오는 두통 같은대요. 일반 두통보다 더 심각한 두통인가요? A) 두통은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는데요. 특히나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두통은 두통에 의한 증상 보다 뇌혈관계 질환 중에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거나 치료 후에 장애를 남길 수도 있는 질환이 많기 때문에 좀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조속한 치료가 필요하고 뇌혈관계와의 연관성을 전문가에게 진단 받아야 합니다. 2) 네 , 혈관성두통에는 원인 질환이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되
2016-11-07
Q1: 요즘같은 환절기에는 비염과 축농증 때문에 고생하시고 계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호흡이 힘들어 질뿐만 아니라 산소부족으로 두통 등을 유발해 정상 생활에 어려움을 준다는데요. 원인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비염과 축농증은 병명은 다르지만 증상이 비슷하여 구분하기 힘든 질환입니다. 특히 요즘같이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비염이나 축농증이나 환자들의 증세가 악화된다는 보고가 있는데요. 특히 학생들이 오랫동안 바르지 못한 자세로 공부를 하다가 축농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이 비염과 축농증은 바르지 못한 자세에서도 올
2016-10-25
Q1) 한의학에서 가을철 관리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가을철에는 백로후부터 시작하여 우수까지 양기는 점점 줄어드는 계절이고 천기는 조(건조)를 주관한다고 말합니다.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기온의 변화가 매우 발리 진행되므로 질병이 발병하기 시작하는 계절입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가을양생법은 조기조침입니다. 가을철에는 일찍 잠자리에 들고 일찍 일어나야 합니다. 일찍 잠자리에 들어서 음을 수장할 수 있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양기를 더 많이 받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한 봄철에는 몸을 가리고 가을철에는 몸을 차게하라. 그러면 병이
2016-10-11
Q1: 우선 “수승화강” 하니까 말이 좀 생소하고 어려운것 같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A: “우리 몸에는 두 종류의 에너지가 있는데 따뜻한 불의 에너지(火氣)와 차가운 물의 에너지(水氣)가 그것인데, 우리 몸이 건강 상태를 유지하려면 수기는 위로 올라가고 화기는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면서, “이 수승화강의 균형이 깨지면 인체가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며 건강에 적신호가 발생한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수승화강(水升火降), 두한족열(頭寒足熱)은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내려오는 건강법 중 하나인데요. 우리 선조들은
2016-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