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지황
1. 오늘은 한약 중에 대표적인 약물인 숙지황의 효능에 알아 볼께요. 숙지황은 어떤 효능이 있나요?
한약 달여 놓은 것을 보면 색이 맑은 것도 있고 색이 검은 것도 많지요, 그 중에서 색이 검으면 대부분이 숙지황이 들어간 처방입니다. 숙지황은 한의학적으로 혈이 허할 때 주로 처방하는 약물중의 하나이지요. 그래서 한약 처방중에 많이 처방되어지고 있지요. 생지황을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고 하고 건지황을 술에 찐 것을 숙지황이라고 합니다. 보통 건지황을 술에 찌고 말리고 하는 작업을 9번 반복 하여 양질의 숙지황을 만듭니다. 숙지황은 혈을 보충하는 보혈 기능이 강하여 한약 처방에 두루 응용됩니다. 숙지황은 맛이 달고 따뜻한 성질의 약물입니다.
혈이 허하여 생기는 빈혈, 어지러움, 생리불순, 두통 등의 증상에 두루 응용됩니다. 그리고 한의학적으로 증상을 보면 음양의 균형이 맞아야 하는데 음의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음허증에 음을 보충하는 작용을 숙지황이 많이 합니다. 예를 들면 신장의 음이 허해서 생기는 요통이나 밤에 땀을 흘리는 증상이나 허열이 오를 때도 주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숙지황은 사물탕이나 육미지황탕의 대표적인 약물이지요.
2.지황도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으로 나누어서 사용하고 효능도 다르다는데 어떻게 다르나요?
지황을 바로 채취 한 것을 생지황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혈에 열이 있는 것을 식히는 작용이 강하고 열을 내리는 작용을 합니다. 건지황은 생지황을 말린것인데 혈의 열을 내리기고 하고 음을 보충하기도 하지요, 숙지황은 건지황을 술에 쪄서 말린것인데 열을 내리기 보다는 혈을 보하고 음을 보충하는 기능이 더 강합니다. 같은 지황이라도 수치에 따라서 약 효능이 달라지는 것이 한의학의 약리 효과이지요.
3. 일반인들이 말하기를 숙지황이 들어간 한약을 복용 중에 무우를 먹으면 나중에 머리카락이 하얗게 쉰다는 말이 있는데 맞는 말인가요?
한약을 복용할 때 금기시 하는 음식이 많아요, 그래서 환자들이 약을 먹을때 불편해 하기도 하지요, 약 처방에 따라 돼지고기, 닭고기, 밀가루 음식 같은 것을 먹지 말라고 주의를 주지요, 숙지황이 들어간 한약을 복용중일때 무우를 피하라고 하지요,
이 말은 숙지황의 약 효력을 무우가 방해 하기 때문에 먹지 말라고 하는 것이지 머리가 쉬는 것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숙지황의 약 효과가 무우로 인하여 약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봅니다. 어릴때 한약을 잘 못 먹어서 머리가 빨리 쉰다는 말은 근거가 없는 헛소문이니 신경을 안 쓰셔도 됩니다.
* 이 글은 KBS라디오 방송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 한방칼럼은 소생한의원의 박동완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소생한의원 054-842-1075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