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다 순국자 배출 안동, 자정순국100주년 행사!!
우리나라가 일본에 국권을 빼앗긴지 100년이 되는 해인 올해 독립운동의 성지인 안동에서는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로 나라 잃은 설움과 압박, 피비린내로 얼룩졌던 그 날을 기억하기 위해 향산 이만도 선생 자정순국 100주년 추모행사를 개최하기로 했다.
1910년 한일합방에 통분을 참지 못한 향산 이만도 선생은 나라에 보탬이 되지 않는 ‘소용所用’없는 목숨을 유지하는 것은 무의하다고 판단, 단식에 들어갔으며 단식 24일 만인 1910년 10월 10일 순국함으로서 안동독립운동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항일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안동에서 일제 침략에 항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자정 순국자를 배출하게 된 주요요인이 되었다.
이에 안동시는 향산 이만도 선생 자정순국 100주년을 추모하기로 하고 선생의 사상과 저항정신을 조명하는 기념식, 학술대회, 선양사업 등 추모행사를 금년 10월 개최해 안동의 항일투쟁사를 재조명하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로서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1854년 태어난 이만도 선생은 1882년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를 지냈으며, 1895년 단발령에 항거 창의하였고, 1910년 한일합방 소식을 듣고 조상의 묘소에서 통곡하며 하직하고 24일간 일체의 음식을 먹지 않고 지내다가 69세의 나이로 순국하였다.
안동독립운동기념관 김희곤 관장은 “항일투쟁기 가장 극적인 투쟁은 자정순국이었으며, 일제 통치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가장 극렬한 저항이 곧 목숨을 끊는 항쟁이었으며, 1905년 이후 1910년대까지 전국에서 자결한 순국자가 70명 정도인데 그 중 안동출신이 10명에 이른다는 것은 곧 안동인의 의리정신과 저항정신, 그리고 정통 지향성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전국 평균치의 50배나 되는 절대적인 수치다”고 말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결연하게 전개된 순국투쟁은 일제의 식민통치 기반을 흔들고 국민들에게 민족적 각성을 촉구하여 항일투쟁을 계속해 나가게 만든 점에서 민족사적 의미가 큰 만큼, 올 해 향산 이만도 선생 자정순국 100주년 추모행사를 통해 역사적 의의를 재정립하고 순국자들의 호국ㆍ구국정신과 민족자주정신을 승화시켜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