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열감이 있어요.
1. 감기가 걸려서 열이 나기도 하지만 감기가 안 걸렸는데도 몸에서 열감이 위로 상승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체온계는 정상인 경우가 있는데 한의학적으로는 어떻게 보나요?
감기가 걸려서 온몸이 으슬으슬 춥고 열이 나는 것을 한의학적으로는 실열 이라고 하고 피곤하고 이럴 때 열이 나는 것을 허열 이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는 열감이 주기적으로니 간헐적으로 열이 나는데 열이 위로 올라오는 느낌이 들거나 얼굴이 화끈 거리는 느낌이 들고 실제로 체온계는 정상인 경우가 않아요. 이런 경우는 주로 피로하거나 과로 했을때 허약한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납니다. 한의학적으로 열은 우리 몸의 진액을 소모시키고 장부의 기능이상을 초래합니다. 염증반응도 한의학적으로는 열에 포함됩니다. 정상적인 열이나 화는 장부기능을 원활하게 하는데 좋지만 과하면 좋지가 않지요.
2. 열이나 화는 왜 생기나요?
한의학적으로 우리 몸의 보이지는 않지만 물과 불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신장의 물과 심장의 화가 균형이 깨어지면 열이나 화가 생깁니다. 이런 균형이 깨어지는 원인으로는 정기를 많이 소모하거나 힘든일을 너무 많이 하거나 생각을 너무 많이 하거나 할때 생긴다고 봅니다.
3. 허해서 생기는 열도 몸에 이상이 있어서 생기는 것이군요. 한의학적인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열이 오르락 내리락 거리고 피로하고 식은 땀도 나고 잠도 못자고, 코피도 나는 경우는 한의학적으로 상초에 허열이 있기 때문에 상초의 허열을 내리는 약을 사용합니다. 입맛도 없고 속도 쓰리고 신물이 올라올때는 중초의 허화로 생기는 경우이므로 비위를 다스리는 약을 사용하고 열이 나면서 소변도 시원치 않고 맥도 약할 경우는 하초의 허열을 내리는 약을 사용합니다.
4. 화나 열이 안 생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동의보감에는 정신이 안정되면 심장의 화는 자연히 가라 앉고 욕심을 버리면 신장의 수는 자연히 상승한다고 했어요. 그리고 마음을 올바르게 하는 것과 마음을 수양하는 것은 화가 발동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라고 했어요. 마음이 안정이 되어야 심장도 안정이 된다는 것이죠. 헛된 욕심이나 생각을 버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체질적으로도 열이 많이 생길수 있는 사람들도 있지요. 특히 소양인이나 태음인들은 열이 많이 생길수 있는데 과로나 과음을 많이 하면 심해질수 있지요. 화가 많아지면 성인병에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고 봐야 합니다.
* 이 글은 KBS라디오 방송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 한방칼럼은 소생한의원의 박동완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소생한의원 054-842-1075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