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이 안찌는 체질
1. 뭐든지 먹어도 살이 바로 찌는 사람이 있고 먹어도 살이 안찌는 사람이 있는데, 살이 많이 쪄도 문제지만 살이 안 쪄서 고민하는 분들도 많은데 살이 안찌는 사람은 체질적인 요소가 많나요?
살이 갑자기 빠지는 경우는 당뇨병이나 갑상선 질환 등을 의심해 볼수도 있지만 원래 살이 잘 안찌는 경우는 체질적인 요소가 많다고 봅니다. 살이 안 찌는 사람들도 나름대로 고민이 많아요. 잘 안 먹어서 살이 안 찌는 경우도 있고 영양섭취가 잘 안되어도 살이 찔수가 있지요. 한의학으로 볼때는 살이 찐 사람은 습이 많다고 보고 마른 사람은 화가 많다고 봅니다. 뚱뚱한 사람은 기가 허하여 몸이 차거워질수 있고 그러면 습이 생기고 담이 생기기 쉽고, 마른 사람은 혈이 허하여 열이 생기기 쉽고 열이 화로 바뀌고 화가 심해지면 마른다고 봅니다. 그래서 살찐 사람은 한방용어로 한습이 많고 마른 사람은 조열이 많다고 봅니다.
2. 살이 안 찌는 사람이 살을 찌울 수 있는 방법은 있을까요?
난 아무리 먹어도 살이 안 찐다는 사람이 있어요. 그런 사람들은 한의학적으로 위열이 많다고 볼 수가 있어요. 어떤 사람은 비위 기능이 약해서 식욕이 별로 없는 사람도 있고요. 살이 너무 없어도 보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적당히 찌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런 분들은 한방으로 체질에 따라 위열을 내리는 한약을 처방하거나 비위기능을 개선 시키는 한약, 또한 마른 사람들 중에 혈이 부족한 사람들은 보혈 시키는 한약을 복용시키기도 합니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안 먹어서 살이 안찌는 아이들이 많기 때문에 위장기능을 개선 시키는 치료를 하지요.
3. 살이 찌기 위해 다른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마른 사람이 살이 적당히 찌는 것은 좋지만 살찌기 위해 밤에 야식을 많이 한다든지 고기 종류를 너무 많이 드신다든지 하면 체중도 늘고 따라서 체지방도 늘기 때문에 좋지 않아요. 특히 밤에 먹으면 살찔 확률은 높지만 위장에 부담을 많이 줍니다. 살이 찌기위해선 골고루 영양섭취를 하는 것이 좋고, 아침 식사는 꼭 하는 것이 좋아요. 운동을 하면서 근력을 높혀 주고 적절한 몸의 균형이 이루어지면서 살이 찌는 것이 좋지요.
4.부모들이 어린이들이 살이 안찌는 경우 걱정이 많은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어린이들은 안 먹어서 살이 안 찌는 경우가 많지요. 군것질만 좋아하고 음료수만 좋아하는 아이들이 살이 안 찌죠. 이런 경우는 일단 식습관을 바꾸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중학생 정도는 2차 성장기 이므로 이때 키가 크는 시기 이므로 살이 안 찌는 것처럼 보일수도 있지요. 성장기의 아이들은 잘 먹어야 잘 커지요. 집에서는 구기자, 대추를 달여서 먹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이 글은 KBS라디오 방송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 한방칼럼은 소생한의원의 박동완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소생한의원 054-842-1075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