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에서의 정신요법

person 소생한의원 박동완 원장
schedule 송고 : 2009-04-01 09:08

1.요즘 같은 불경기에서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들도 생기는데 오늘은 정신적인 피로가 심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한방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의학적으로 정신요법은 어떻게 보나요?

요즘은 주변에 보면 육체적인 피로가 많은 분들도 있지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피곤해하시는 분들도 많이 볼수 있어요. 한의학적으로 볼때는 정신적인 과로는 우리 몸의 오장의 기능의 허실을 유발하기도 하고 기혈순환을 잘 못하게 할수도 있고, 기혈이 허해질수도 있고 정기도 약해지고 우리 몸의 불필요한 담이 생기거나 어혈을 생기게 할수도 있습니다. 한의학적으로는 우리의 정신적인 감정인 즐거움, 노여움, 우울, 생각, 슬픔, 두려움, 놀람의 일곱가지의 정신상태를 칠정이라고 하여 칠정의 손상으로 정신적인 문제나 육체적인 문제가 유발 된다고 봅니다.

2. 한의학적인 정신요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한의학적인 정신요법은 예전부터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육체적인 병으로 정신적인 문제가 생기기도 하지만 정신적인 문제로 육체의 병이 생기기도 하기 때문에 정신요법도 중요합니다.한의학에서는 우리정신을 우리몸의 기본장기인 오장과 연관 시켜서 보기 때문에 정신이 육체와 같이 움직여서 원활한 작용을 할려면 정신과 육체가 조화로와야 한다고 봅니다. 이와 같은 한의학적 관점은 마음과 몸이 하나라는 생명관점에서 볼수 있어요. 이러한 정신요법으로는 이도요병(以道療病),허심합도(虛心合道), 이정변기요법(移精變氣療法), 오지상승위치료법(五志相勝爲治療法), 광치료법(?治療法),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 도인요법(導引療法), 단전호흡법(丹田呼吸法) 등이 있어요.

3. 그럼 이도요병(以道療病)과 허심합도(虛心合道)는 어떤 치료법인가요?

모든 병은 심신(心神)으로 인하여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는 말입니다. 도라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마음속에 있는 의혹, 망념, 불평, 증오와 경멸, 후회, 불신 같은 마음을 비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야 병도 빨리 나을수 있지요. 결국 마음을 비워야 하는 것인데 쉽지는 않겠지만 조금이라도 노력 하는 자세가 필요하겠지요. 마음을 비워야 도와 합해진다는 뜻인데 마음을 비우면서 몸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는 치료법이라고 볼수 있지요.

4.이정변기요법(移精變氣療法)은 어떤 치료법인가요?

이정변기란 정을 옮기고 기를 변하게 하는 것으로 기분을 전환한다는 치료법이죠. 환자의 기분을 전환시켜 병을 치료하는 것이라 볼수 있지요. 이러한 요법은 특히 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홧병이 있을 경우 기분을 전환 할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수 있어요. 대화를 한다든지 밖에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한다든지, 자기가 좋아하는 취미생활을 한다든지 종교생활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되고, 좋아하는 사람들과 만남을 가지는 방법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지요.

5.오지상승위치료법(五志相勝爲治療法)이란 어떤 치료법인가요?

간은 노여움을 가지는 장기인데 노여움이 심해지면 간을 상하게 만들고, 심장은 즐거움을 가지는 장기인데 즐거움이 너무 과해도 심장을 상하고, 비장은 생각을 담는 장기인데 생각이 과해도 비장을 상하고, 폐장은 걱정을 가지는 장기인데 걱정이 과해도 폐장을 상하고, 신장은 두려움을 가지는 장기인데 두려움이 과해도 신장을 상합니다. 그래서 다섯가지의 감정을 조절하여 오장을 치료하는 방법이라고 할수 있지요.

* 이 글은 KBS라디오 방송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 한방칼럼은 소생한의원의 박동완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소생한의원 054-842-1075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방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