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거리에서 무료 입춘첩 나눔 행사열려

person 문화를가꾸는사람들
schedule 송고 : 2009-02-04 16:04

사)문화를 가꾸는 사람들이 안동 시민들과 함께 새해 새로운 행운과 봄을 송축하고 '立春大吉'을 쓴 조상들의 슬기를 나누고자, 2월 4일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문화의 거리에서 ‘2009 무료 입춘첩 나눔행사’를 개최했다.


입춘첩은 봄을 알리는 절기인 입춘(음력 1월10일)에 각 가정의 대문이나 기둥 위에 한 해의 행운과 봄을 송축하는 글귀를 붙이는 것이다. 고택이나 서원 등 농촌의 고가의 대문에 하얀 종이에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우순풍조 시화년풍(雨順風調 時和年豊) 등이 쓰여 있는 것을 떠올리면 될 것이다. 입춘첩은 춘첩자(春帖子) · 입춘축(立春祝) · 춘첩(春帖)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입춘첩을 생활화하던 과거 사대부 집에서는 입춘첩을 새로 지어 붙이거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썼으며, 서민들도 새 봄을 새롭게 맞이한다는 각오로 입춘첩을 써 붙이는 풍속이 있었다. 대궐에서도 설날에 내전 기둥과 난간에다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써 붙이기도 하였다.

겨울이 절정이면 봄은 멀지 않다. 추운 겨울이 길면 길수록 봄 생각이 간절하다. '立春'이란 절기가 처음 문헌에 나타난 시기는 중국 북위 때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우리 조상들은 봄을 간절하게 기다리며, 대문이나 기둥에 立春大吉이란 춘첩자를 붙였다.

24절기 중 첫 절기인 '입춘'은 태양이 황경 315도의 위치이며, 2009년은 이 지점이 2월4일이다. 이날부터 약 15일간을 입춘절이라고 하며, 立春(입춘)의 '立'은 '서다'가 아니고 '곧'이라는 뜻이다. "곧 봄이다"란 입춘의 뜻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면, 입춘이 지났는데 계속되는 겨울을 원망할 수 있다.

"곧 다가올 봄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을 것"이란 뜻의 '立春大吉'을 쓴 조상들의 슬기를 서로 나누는 입춘절 행사를 계기로 입춘절에는 만나는 사람마다 서로에게 복을 빌어주며 "입춘대길"로 인사하는 것은 어떨까.

이날 행사는 문화의 거리에서 청남 권영한 선생이 직접 입춘대길을 써서 안동시민 400여명에게 나누어 주었으며 사)문화를 가꾸는 사람들이 안동의 종택과 문화재, 고가 등 100여개 곳을 직접 찾아 입춘첩을 나누어주었다. 이번 ‘입춘첩 나눔 행사’는 안동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으며, 사)문화를 가꾸는 사람들이 매년 입춘날을 정기 행사화하여 무료로 시민들에게 입춘첩을 나누어 줄 예정이다.

사)문화를 가꾸는 사람들은 11월 설립되었으며, 안동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새로운 문화산업화를 목적으로 문화재 관리 활용의 질을 높이고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예술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설립된 법인이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화"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