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먹는 과일
1. 계절이 좀 지난감은 있지만 추울 땐 과일을 충분히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 오늘은 겨울철에 먹는 과일에 대해 알아 볼께요.
겨울에 먹을 수 있는 과일 중에 대표적인 과일은 사과를 들수 있는데요, 사과의 효능을 한의학적으로 알아보면 사과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새콤 하기도한데, 소갈과 곽란의 복통을 다스리고 담을 없애준다고 하였고 설사를 그치게 한다는 효능이 있어요. 그리고 겨울에 먹으면 시원한 배는 성질이 차고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주고 풍열을 제거하고 가슴에 열이 뭉친 것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요. 성질이 차가워서 갈증에 좋고 술을 먹고 난 뒤의 갈증에 좋아요. 그러나 많이 먹으면 속이 냉하여 속이 찬 사람이나 임산부는 너무 많이 드시지 마세요.
2. 겨울에 비타민 부족이 많아지기 때문에 비타민이 충분한 홍시나 곶감도 많이 먹는데 한의학적인 효능은 어떨까요?
홍시의 성질은 차고 맛은 달고 갈증을 그치게 하고 폐의 기능이 도와주고 심장의 열을 다스리며 위를 열어 열독을 풀고 위장의 열을 제압하고 입안이 건조해지고 토혈을 그치게 합니다. 그런데 술과 같이 먹으면 심통이 생기고 또한 취하기 쉬우며 게와 같이 먹으면 복통이 생기고 토사를 일으킬수도 있어요. 곶감도 성질이 차고 보하는 성질이 있는데 위나 장의 기능을 보하고 소화기능을 도와주고 기미를 없애주고어혈을 제거하는 효능도 있어요.
3. 겨울에 귤도 많이 먹고 귤껍질을 차로도 먹는데요, 효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귤은 성질이 차고 소갈을 없애주고 위장기능을 좋게 합니다. 그러나 세콤한 맛은 담을 모으게 하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으면 담이 더 생기게 할수도 있어요. 귤껍질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쓰고 약간 맵기도 합니다. 흉격간의 기를 다스리고 위장기능을 개선시키며 설사를 그치게 하고 담을 없애주고 기침과 구역을 다스리고 소화를 돕는 기능이 있어요.
4. 집에서 호도나 밤을 간식거리로 남녀노소 많이 먹기도 하는데요, 한의학적인 효능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호도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고 머리를 검게 하기도 한답니다. 호도는 수축하는 기능이 있어서 폐기능을 도와주고 기침을 다스리고 신장을 보하여 요통을 다스리기도 합니다. 밤은 성질이 따뜻하고 기를 보충하고 위장과 신장의 기운을 도와줍니다. 옛서적을 보면 밤의 속껍질은 꿀과 같이 반주하여 노인의 얼굴에 바르면 주름살도 펴진다는 말도 있어요.
5. 겨울에 대추차나 유자차를 먹으면 속이 따뜻해지는 느낌이 드는데 유자의 효능은요?
유자의 성질은 맛이 달고 위장의 나쁜 기운을 없애주고 주독을 풀어주기도 하여 술을 많이 드시는 분들에 좋은 효과가 있어요. 대추는 맛이 달고 비위기능을 따뜻하게 하고 비장의 도와주고 오장을 보하고 경맥을 도우며 진액을 보하며 모든약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어요.
* 이 글은 KBS라디오 방송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 한방칼럼은 소생한의원의 박동완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소생한의원 054-842-1075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