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문화학교’문화유산 소중함 일깨워

person 안동민속박물관
schedule 송고 : 2009-02-02 09:37
현장답사로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제고

안동민속박물관(관장 박동균)에서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강의와 심도 있는 문화유적 답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2월 2일부터 11일까지 안동민속박물관 문화학교 제6기 박물관 대학 수강생 90명을 모집합니다.



이번에 개강하는 박물관대학은 3월부터 12월까지 안동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통해 “한국정신문화의 수도이며 세계역사도시인 안동”의 우수한 문화를 시민들이 직접 배우고 확인할 수 있는 강의와 현장답사로 진행될 계획이다.

박물관대학은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금요일 개최되며, 둘째 주는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고 다양한 강의로, 넷째 주에는 안동문화권ㆍ신라문화권ㆍ백제문화권의 문화유적지 현장답사로 진행되어 있어 수강생들은 우리 전통문화를 배우고 직접 답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동민속박물관은 1993년 문화관광부로부터 <박물관 문화학교>로 지정받아 지역민들에게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동안 문화학교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민속교실 1,374명, 전통문화교실 8,731명, 박물관대학에 지난해까지 543명이 수료하였다.

2009년 제 6기 박물관대학 수강생 모집 안내
   (1) 기간 : 2009년 2월 2일부터 2월 11일까지
   (2) 대상 및 인원 : 만 65세 이하인 시민 90명
   (3) 수강료 : 없음
   (4) 현장답사비 : 120,000원(식대, 입장료 등 수강생 자기 부담금)
   (5) 신청접수 : 민속향토사연구담당(직접방문, 전화, FAX 840-6549 등)
   (6) 문의처 : 안동민속박물관 민속향토사연구담당 전화 840-6547

박물관대학 개최계획
   (1) 명칭: “제6기 안동민속박물관 박물관대학”
   (2) 기간: 2009년 3월부터 12월까지(10개월간)
   (3) 일시: 강의와 답사로 나누어 진행하며 매월 둘째, 넷째 주 금요일
   (4) 장소: 안동민속박물관, 문화유적지

세부운영계획 
   (1) 강좌의 구성 : 강의와 체험, 문화유적지 현장답사로 편성
     - 강의는 매월 둘째 주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해당분야 전문강사 특강
     - 답사는 매월 넷째 주 금요일 월 1회 문화유적지 현장답사.
       ※ 단, 9월과 12월은 첫째 주와 셋째 주에 운영함.
   (2) 수강생 관리
    - 전 과정을 수료한 자에게 수료증 발급
    - 수강생은 “제6기 박물관대학 동문회”에 가입.

문의처
   안동민속박물관 민속ㆍ향토사연구담당(☎ 840-6547, 홈페이지 http://adfm.or.kr)

2009년 제6기 박물관대학 강의 편성표

강  의  내  용

시간

강  사

비고

3

[ 3월 개강식과 여는 강좌 그리고 맛보기 답사 ]

13

제6기 박물관대학 개강식
- 제6기 박물관대학 개강
- 시장님 인사말씀 및 강좌소개

10:00-10:20

 

 

안동문화의 특징
-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안동!
- 안동, 안동사람, 그리고 안동문화!

10:30-12:00

김 휘 동
안동시장

 

27

안동문화권(예천지역) 답사
- 금당실마을의 삶과 문화, 동성마을 들여다보기
- 예천권씨종가와 별당/살림집의 공간구성
- 예천 초간정 답사, 산수간에 집을 짓고~

09:00-18:00

금당실/박일윤
종택/권영기
655-9225

초간정/권영일
655-9233

 

4

 [ 4월 유교문화 특강, 마음의 때를 씻고자 한다면... 불명산 화암사로 가라! ]

10

안동지방의 유교문화
- 할배요, 음복까지가 제사씨더~
- 향교와 서원으로 본 안동지방의 인물!

10:00-12:00

박 동 균
안동민속박물관장

 

24

완주 불명산 화암사 답사
- 마음의 때를 씻고자 한다면...
- 부처님이 밝게 빛나고 있는 산, 불명산!
- 우리나라 유일의 하앙구조 건물의 이해!

10:00-12:00

손 상 락
학예사

 

5

[ 5월 한국의 미 특강, 산의 기상과 사람의 기개가 스민 땅! 경남 산청과 함양 ]

8

동양화 감상법(Ⅰ)
- 우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상징성~
- 채색화의 아름다움과 감상법

10:00-12:00

송환아교수
안동대학교

 

22

산의 기상과 사람의 기개가 스민 땅,
경남 산청! 남명 선생의 유적을 찾아서...
- 남명 조식 선생 덕천서원, 산천재!
- 성리학 5현의 한사람인 정여창 선생 유적지
함양 남계서원과 정여창선생 고택

 

손 상 락
학예사

 

강  의  내  용

시간

강  사

비고

6

[ 6월 불교문화 특강, 남도답사 1번지 전라남도 답사 ]

12일

부석사와 봉정사를 통해 본 화엄불교!
- 안동지방 불교문화의 특징, 전탑
- “불립문자, 일체유심조”라 했거늘!

08:00-20:00

이효걸교수
안동대학교

 

25일

26일

남도 답사 1번지 전라남도 해남, 강진~
- 한국 정원의 백미~ 소쇄원!
- 천불천탑의 소망과 민중불교~운주사!
- 천년세월을 그리움으로 지켜 온 시위부처의 사랑 이야기~
- 한반도 최남단 사찰인 달마산 미황사
- 두륜산 대흥사

08:00-22:00

손 상 락
학예사

화순
온천

 

금호
리조트
1박

7

[ 7월 우리 선조들의 여름나기, 나제통문을 넘어 피안의 세계로~ ]

10

우리 문화 바로 알기~
- 문화를 보는 눈, 문화를 읽는 코드
- 우리 문화에 담겨 있는 상징성
- 가슴으로 전해오는 우리 문화 이야기~

10:00-12:00

박석홍선생
소수박물관

 

24

 나제통문을 넘어 무진장으로 떠나는 답사

- 아! 무주, 진안, 장수 그 너그러운 품으로~
- 무주구천동~ 피안의 세계에서 만나는 여유...
- 마이산 탑사! 그 신비 속으로
- 이갑룡 처사와 돌탑!

 

손 상 락
학예사

 

8

[ 8월 가을하늘 밝은 달처럼~ 퇴계의 학문과 삶, 공예체험]

21

가을 하늘 밝은 달처럼~ 퇴계 이황
- 퇴계 이황 선생의 생애와 학문하는 자세
- 퇴계 선생의 자식교육
- 퇴계 선생의 삶을 통해 본 부부의 도리~

10:00-12:00

윤천근교수
안동대학교

 

28

전통한지공예 체험
- 내 손으로 만드는 한지 공예 작품
- 한지 공예 그 소박한 멋~

10:00-13:00

이맹자선생
권혜영선생

 

강  의  내  용

시간

강  사

비고

9

[ 9월 안동국제탈춤 제대로 즐기기, 소담스런 절집 고성 운흥사 답사 ]

4

하회별신굿탈놀이 기본춤사위 배우기
- 하회별신굿을 보지 못하면 죽어서도 극락을 갈 수 없다는 데...
- 하회별신굿의 올바른 이해!
- 기본춤사위 따라 배우기~
- 탈춤축제 신명나게 즐기는 법!

10:00-13:00

이상호보유자
임형규보유자
임재선이수자

 

18

고성 운흥사와 천진암 답사
- 호국사찰, 의승군의 발자취를 찾아서
- 조선 불화의 르네쌍스를 개척한 화승 의겸선사!
- 사찰마당에서 마주하는 장독대!
- 운흥사 해우소에서 볼 일 한번 보고 가시죠?

08:00-20:00

손 상 락
학예사

 

10

[ 10월 동양화 감상법과 가을 단풍에 물든 지리산 자락의 사찰 답사 ]

9

동양화 감상법(Ⅱ)
- 동양화 그림 읽기의 즐거움~
- 수묵화

10:00-12:00

권기윤교수
안동대학교

 

23

가을빛으로 물든 지리산자락의 사찰답사
- 산은 깊고 세월은 묵어 부도에 꽃이 피네~ 돌 꽃이 피네
- 부도! 그 영원의 미를 찾아서!

 

손 상 락
학예사

 

11

[ 11월 중국 문화 바로보기, 고달사지 답사는 초겨울에 가야 제 맛! ]

13

중국문화유산 비교특강
- 중국 휘주의 문화와 삶, 그 못다 한 이야기
- 중국의 문화재 보호정책

10:00-12:00

임세권교수
안동대학교

 

27

여주 신륵사, 고달사지 답사
- 왕실 원찰로 영릉을 수호하는 신륵사
- 고달사지, 장인이 남기고자 했던 언어는?
- 고달사지 석물에 깃든 우리 문화의 멋!

09:00-20:00

손 상 락
학예사

 

12

[ 12월 박물관대학 강의 마무리와 수료식 ]

18

마무리 강의와 토론
- 6기 박물관대학을 마무리하며 
- 한 해를 돌아보면서 아쉬움과 개선점 토론

10:00-12:00

 

 

 제6기 박물관대학 수료식(11시)

※ 강의와 답사 계획은 박물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화"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