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김씨 청계공파 문중 전시회(4)

person 김종규 객원기자
schedule 송고 : 2009-01-15 10:30
독립운동, 기타 유물들~

이 문중의 독립운동은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28312 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안동의 독립운동 관련은 안동독립운동기념관 홈페이지(http://www.815andong.or.kr/)에 들어가보면 된다.

 >> 1895년 12월 7일(음력) 작성된 안동 의병 지휘부 조직 및 명단, 색으로 표시된 사람들이 청계 후손들

 >> 내앞 마을에 세워진 협동학교 1회 졸업장
주인공 김성로는 김대락의 종손자로 김대락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 기지건설 및 군자금 모금
활동을 펼치다가 체포되어 1922년 4월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명치 연호를 사용한 것이 많이 거슬린다. 아직 일제에 제대로 항거하기 전인 듯하다.

 >> 문중에서 건국 유공 훈포장을 받은 사람들의 명단


1804년 집안 사람에 의해 발견된 옥피리로 신라 경순왕이 남긴 두 개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발견 당시 네 조각으로 파손되어 백은으로 수리했다고 한다.
경순왕은 같은 값이면 셋째 아들에게 물려주지 왜 다섯째 아들에게 물려줬을 까?
서른 여덟 번만 잘 넘어왔으면 내 것이 될 수도 있었는데.



연하침. 김휴가 금강산에 갔다가 만폭동 청룡담 물속에서 주웠다고 한다.
김휴는 1627년 진사시를 치르고 발표도 나기 전에 금강산 유람길에 올랐다고 한다. 


경와 김휴가 31세 되던 1627년 진사시에 급제했을 때 외숙으로부터 선물로 받은 벼루
외조부가 명나라에 갔을 때 구해온 것이라고 한다.


춘고 김용락의 지석. 순조실록의 편찬에참여한 인물이다.

 ※ 김종규님은 현재 안동병원 진단의학과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