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홍씨 시조 무덤에 전하는 이야기

person 박장영
schedule 송고 : 2008-10-30 09:31

신성리는 풍산홍씨의 세거지였으나 지금은 모두 떠나가고 광산김씨가 들어와 살고 있는 마을로 구담리에서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구담교를 지나 경지정리가 잘되어 있는 신성들을 만나는데 이 들판을 가로질러 길이 끝날 즈음에 신성리 아랫마을에 도착합니다.

신성리는 1리와 2리로 구분되며 자연마을은 1리에 큰마, 탑마, 골안, 중마, 새터 등이 있고, 2리에는 장골, 대방골, 아랫마, 비리끝 등이 있습니다. 지명은 동네의 사방이 높은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그 한복판에 열십(十)자로 큰 길이 나 있어 그 모양이 아홉 번째 간지인 원숭이를 뜻하는 납신(申) 자(字)와 같이 생겼기에 납성계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성리(申城里)가 되었습니다. 큰마는 신성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고 신성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로 이 마을 뒷산에 풍산홍씨시조묘(豊山洪氏始祖墓)가 있습니다.

조선 중엽 안동시 풍천면 신성동 속칭 납성계에 살던 홍진사 집에는 아들 3형제가 있었습니다. 큰아들과 둘째 아들은 이미 장가를 들어 고운 자부들을 보았으나 아직 손자들은 없었습니다. 이제 막내아들이 장가들 일에 집안 대소가에서 마땅한 규수감을 구하는 일로 분주했습니다. 그런데 그보다 더 큰일이 일어났으니 홍진사가 병으로 시름시름 앓다가 그만 세상을 떠난 것입니다.

장례를 치르기 위해 지관을 모셔 와서 묘 터를 살피고 돌아와서 지관은 묘 터를 잡기 전에 상제들 앞에서 매우 난처해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들들은 무슨 연유인지 거리낌 없이 말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지관은 "만약 장례를 치르게 되면 3년 내로 아들 3형제는 모두 죽을 것이오. 그러나 후세에는 반드시 큰 인물이 나리다." 고 하였습니다. 이 말에 홍진사댁은 발칵 뒤집혔습니다. 과연 장례를 지내야 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에 대한 의견 이 분분했습니다. 맏이와 둘째아들은 후대를 이을 아들 하나도 없이 모두 죽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장례를 치르지 말자고 우겼고, 막내는 아버님의 유택을 마련하지 못함은 불효라 하며 어찌 장례를 치르지 않고 시신을 그냥 둘 수 있느냐고 막무가내로 우겼습니다. 결국 막내아들의 의견대로 장례를 치르게 되어 지관이 정한 자리에 무덤을 썼습니다.

그로부터 1년 후 소상 때 모인 마을 사람들은 그때까지 아무런 변고가 없는 홍진사댁을 보고 지관이 거짓말을 했는가? 의아해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날 맏아들이 원인을 알지 못하는 병으로 급사하고 말았습니다. 대상 때가 되자 둘째 아들 역시 원인모를 병으로 죽었는데 슬하에는 모두 자녀가 없었습니다. 지관의 말대로 2년 만에 남편들이 죽고 청상과부가 된 두 며느리는 신세타령을 하기에는 사태가 너무나 급해졌습니다. 바로 시동생문제로 두 며느리는 시동생을 불러 이대로 있으면 얼마 못 가서 지관의 말대로 죽을 것이니 이대로 죽으면 홍씨 가문은 영영 대가 끊어져버리니 액운이 들은 고향을 떠나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집을 나선 청년은 그 길로 한양으로 올라갔습니다. 신분을 감추고 문전걸식하며 지내던 중 다행스럽게도 어떤 큰 대감댁의 하인으로 들어가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주인이 보기에 이번에 들어 온 하인은 어딘지 품위가 있고 태도와 범절에도 다른 하인들과는 달랐으며 때로는 밤늦도록 글을 읽기도 하여 그를 범상치 않게 여겼습니다. 마침 그 댁에는 과년한 딸이 있었는데 청년의 남다름을 보고 아무도 몰래 사모의 정을 키워갔습니다.

그러던 중 그 해도 다 가는 늦가을 밤이었습니다. 가을밤은 심회의 적막감을 더욱 깊게 하여 청년에 대한 사모의 정이 샘솟듯 솟아나는 것을 주체하지 못한 딸은 음식상을 해 들고 청년의 방을 찾아갔습니다. 그 청년은 주인 딸이 찾아온 것을 꾸짖었으나 마음은 이미 서로 사모하고 있었던지라 음식과 술을 들며 운우의 정을 통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청년은 왜 자신이 이렇게 살고 있는지 그 자초지종을 처녀에게 자세히 얘기했습니다.

새벽녘이 되어 지난밤의 따뜻한 정에 아직도 가슴이 뛰던 딸은 청년에게 혼례에 대한 말을 하였는데 아무 반응이 없어 아직 잠에서 깨지 않았나 생각하며 몸을 흔들어보니 이게 웬일인가! 청년은 피를 토하고 죽어 있는 게 아닌가? 뜻하지 않은 변을 당한 주인은 남몰래 청년의 시체를 싸서 딸로 하여금 경상도 안동으로 내려가게 했습니다. 한편 시동생을 내 보낸 두 과부는 오직 시동생이 성공하여 돌아오기만을 기다렸으나 객사하여 돌아온 시동생을 보고 까무러치듯 놀랐습니다. 홍진사의 무덤 아래에 세 아들을 나란히 장사한 며느리들은 하늘과 조상을 원망하며 한없이 울었습니다.

그런데 이 홍진사의 막내며느리는 천우신조인지 하룻밤의 정으로 태기를 얻어 열 달이 지나 아들 세쌍둥이를 낳았습니다. 막내며느리는 '꿈에 아버님이 현몽하여 세 며느리에게 아들을 하나씩 맡아 기르도록 당부하였다.'고 하며 가장 먼저 태어난 아들을 맏형에게 그 다음을 둘째형에게 맡기고 막내는 자기가 맡아 길렀습니다. 세쌍둥이는 모두 기개가 뛰어나고 학문과 재주가 비상하며 우애 또한 깊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장성하여 첫째는 목사 둘째는 현감 셋째는 경상감사로 부임하여 일생을 조상이 묻힌 땅에서 번창하며 살았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이 이야기는 안동을 비롯한 경북북부지역에서 전승되고 있습니다.
※ 박장영님은 현재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에서 학예실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뷰/기고"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