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의 한방치료

person 동흥한의원원장 신지섭
schedule 송고 : 2021-03-29 09:44

1) 허리가 아픈 요통, 원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허리가 아픈 이유는 많습니다. 그래서 환자분들의 발병동기를 들어보고 통증양상을 분별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크게 나눠서 염좌, 신경근 압박, 골절 정도로 분류해 볼 수 있겠습니다. 과격한 운동을 하다가 혹은 무거운 것을 들다가 소위 ‘허리가 삐끗하는 것’이 염좌에 해당하는데요. 허리 주변 근육, 인대 등 연부조직 손상을 동반합니다. 다음으로 신경근 압박인데, 조금 생소하게 들리실 수 있겠는지만 흔히들 알고 계시는 디스크,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해 신경근 압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척추 뼈 사이로는 척수신경이 머리에서부터 내려오면서 각 분절마다 신경근이라는 신경뿌리가 나오는데, 디스크가 튀어 나와서 신경근을 누르던가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근을 눌러서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허리가 아플 뿐만 아니라 하지가 저리는 등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됩니다. 골절은 추운겨울 미끄러져서 엉덩방아를 찧는다던가 허리에 수직 압력이 가해졌을 때 허리뼈 몸통이 주저앉는 압박골절입니다. 너무 큰 힘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사람에게는 디스크가 압력을 버텨주지만 골다공증이 있는 분의 경우 골밀도가 낮아 쉽게 골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척추의 후관절면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허리를 피는 것이 아픈 척추증과 척추분리증 등 다양한 질환이 존재합니다.

2) 허리가 아픈 이유는 매우 많군요. 요통도 혹시 유전적인 요인이 있습니까?

A. 네 그렇습니다. 허리디스크에서 유전적 성향이 강한 작용을 하는데요. 최근 실험 중 쌍둥이에서 시행된 MRI 검사상 예상보다 높은 연관성이 있는 퇴행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추간판 퇴행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가족력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가족 중에 디스크, 추간판장애로 인해 고생하는 분이 있다면 현재 나의 척추건강을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3) 그러고 보니 가족중에 허리가 아픈 사람이 있으면 많이 아픈것처럼 유전적인 원인이 작용하는군요. 다른 요소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직업적인 요소가 있겠습니다. 허리는 사람 체중의 대부분을 받습니다. 이 하중은 자세에 따라서 바뀌는데요. 앉아 있을 때 가장 많은 하중을 받습니다. 오랫동안 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던가 수험생들에게 요통이 많이 발생할 수 있겠죠. 적당히 쉬는 시간을 가져서 가벼운 산보를 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4) 척추가 건강하려면 흔히 자세가 좋아야 한다고 하는데, 어떤 자세가 척추에 좋은 자세인가요?

A. 척추는 세개의 커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추는 앞쪽으로 C자 흉추는 뒤쪽으로 다시 요추는 앞쪽으로 커브가 형성되어 있는데요, 이것은 우리 몸의 하중을 받기 위해 최적화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일자목, 일자허리 등 들어보셨듯이 잘못된 자세를 가지게 되면 연부조직이 굳어지고 관절가동성이 떨어지면서 원래의 커브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러면 다른 척추 분절에서 받는 압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게 되고 척추건강에 적신호가 들어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서서 활동하실 때는 시선은 항상 정면을 직시하고 어깨를 피고 다니시는게 좋고, 앉아서 활동하실 때는 허리받침을 꼭 활용하시며 책을 보실 땐 꼭 독서대, 컴퓨터를 하실 땐 노트북보단 데스크탑을 활용 하셔야 됩니다.

5) 원인과 자세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한의학적인 요통의 원인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많은 요통의 원인 중 어혈과 신허 요통으로 나누어 설명드리겠습니다. 흔히 무거운 것을 들다가 삐끗한 경우가 많은데 주로 무리한 동작이나 운동 중에 허리 근육과 인대를 손상해서 발생합니다. 한의학에서 이럴 경우 허리에 어혈이 생겨 경락의 기혈순환을 방해하여 허리에 통증이 생긴다고 봅니다. 신허요통은 신장기능의 약화가 만성요통으로 이어진 것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신장이란 단순히 콩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골격계, 내분비계의 기능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신허요통은 별다르게 다친 적도 없는데 허리가 뻐근하며 자주 허리가 아프고 조금만 서 있거나 앉아 있어도 쉽게 피로를 느끼는 분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6) 만성요통이 많은만큼 허리치료도 무척 중요할 텐데요. 어떤 한의학적인 치료법이 있을까요?

A. 통증이 유발되는 근육을 보충해 주는 테이핑 요법, 어혈을 제거해주고 만성적인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침 및 봉침 요법, 척추관절의 떨어진 가동성을 올려주고 비뚤어진 척추분절을 교정해 주는 추나, 경락 순환이 저체된 곳을 통기시키는 침 요법 등이 있겠습니다. 또한 체질과 근육상태에 적합한 운동법을 처방하며 식사 및 생활개선에 힘쓴다면 요통치료는 잘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본인의 평소 자세, 습관이며 적절한 운동을 통해 근육량이 떨어지지 않아야 올바른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방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