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마비의 한방치료

person 동흥한의원원장 신지섭
schedule 송고 : 2020-10-19 09:29

1) 얼굴이 비뚤어 지는 것을 구안와사라 부르기도 하고 안면마비라 부르기도 하는데 같은 질환인가요?
 
A: 네 그렇습니다. 안면근육이 마비가 되어서 정상적인 표정근의 작동이 되지 못하면 입과 눈이 비뚤어지는데요, 이를 구안와사라 부릅니다. 먼저 구안와사라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한의학에서는 와사풍이라고 해서 일종의 외부적인 감염으로 인한 증상들을 찬 기운이나 바람이 들어와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특히 입과 눈이 비뚤어지는 증상을 표현해서 구안와사라는 명칭을 붙이게 된 것이지요.  현대적으로 실제 안면마비의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안면신경의 염증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어떻게 본다면 얼굴에 든 감기와도 같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2) 안면마비가 오기 전에 조짐 같은 것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초기 증상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A: 처음에는 보통 귀 뒤, 귀 밑에서부터 시작되는 뻐근하거나 쑤시는 듯한 통증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목 어깨가 뻣뻣해지는 경우도 많고요. 그리고 며칠이 지나면서 차츰 한쪽 눈이 얼얼하고 흐릿해지거나 눈이 부시거나 눈물이 난다는 느낌이 들고, 한쪽 입에서는 볼에 음식물이 고이거나 양치를 할 때 입가로 치약물이 흐르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마비가 발생하여 눈이 다 감기지 않고, 볼에 바람을 넣으려고 해도 잘 들어가지 않으며, 표정이 제대로 지어지지 않아요. 최종적으로는 가만히 거울을 보더라도 표정이 완전히 틀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마비가 진행되기 전에 초기증상부터 알아차릴 수만 있다면 더 빠른 관리가 가능하고 후유증의 위험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3) 같은 안면마비여도 어떤 사람은 빠르게 회복하고 어떤 사람은 늦게 회복하기도 하잖아요? 병의 경중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A: 얼굴에 마비증상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바로 중추성과 말초성 증상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중추성이라는 것은 중추신경, 즉 뇌에 발생한 문제, 예를 들어 뇌출혈, 뇌경색 등으로 인해서 발생한 증상인가, 그리고 말초성이라는 것은 귀 주변을 지나는 안면신경의 분지에서 발생한 문제로 인한 증상인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만약 중추성이 의심된다면 응급적으로 검사와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구분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양쪽 눈썹을 들어서 이마에 주름을 잡아보았을 때, 중추성의 경우는 이마에 주름이 정상적으로 잡히고, 말초성의 경우는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추성의 경우는 머리에 두통이나 어지러움 등이 발생하거나, 한쪽 팔다리와 손발에 힘이 빠지는 증상, 그리고 눈과 입의 근육뿐 아니라 혀뿌리가 얼얼하면서 말이 어눌해지는 증상 등이 동반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감염된 부위에 따라 말초성 안면마비에서도 이마주름이 잡히는 경우가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아야 합니다.     

4) 일반적인 안면마비의 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A: 위에서 얼굴에 든 감기와도 같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실제로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신경을 압박하면서 마비를 일으키고 염증이 다시 가라앉고 신경이 회복하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마치 감기가 걸렸다가 한바탕 증상을 겪고 낫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감기가 1주 내외의 경과를 가지는 것에 비해서, 구안와사의 경우 보통 4주 내외의 경과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 1~2주까지는 마비가 더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까지는 바이러스가 한바탕 염증을 일으키고 신경에 손상이 발생하는 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1~2주의 어떠한 시점을 기준으로 마비의 진행이 멈추게 되는데, 이때를 기점으로 마비되었던 눈과 입의 감각이 서서히 돌아오고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됩니다.
이때는 염증이 가라앉고 신경이 회복되기 시작하는 기간이라 할 수 있고, 빠르면 3~4주에서 최대 6~8주까지도 회복을 관찰해 주어야 합니다. 
      
5) 구안와사의 한방적 치료는? 
 
A: 구안와사의 한의학적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초기 마비기와 후기 회복기를 꼼꼼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급격히 심하고 완전한 마비가 진행된다면 이후 예후가 나쁠 수 있고, 회복기가 2주 이내에 제 때 나타나지 않는다면 역시 예후가 나쁠 수 있습니다. 거꾸로 초기 마비가 완만하고, 빠른 회복기가 시작된다면 긍정적인 예후로 볼 수 있습니다.
침, 약침요법은 초기 마비기에는 안면신경을 손상시키고 있는 염증을 완화시키면, 후기 회복기에는 안면부의 경락을 활성화시키고 마비된 근육을 자극해서 운동신경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한약요법 또한 염증부위를 개선하고 안면부 경락을 회복시키는 효능이 뛰어난데요, 만약 환자분의 최근 몸상태를 확인하여 소화기나 순환기에 특별한 문제가 관찰된다면 이 또한 함께 해결해주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방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