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온기 품은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폐막

person 안동시
schedule 송고 : 2018-09-10 09:11


  “생명, 삶의 가치를 품다”라는 주제로 열린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이 7일 막을 내렸다. 지난 5일부터 안동문화예술의전당에서 진행된 21세기 인문가치포럼은 모든 생명의 공존과 어울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한국정신문화재단이 주최·주관한 이번 인문가치포럼은 시민과 함께 소통하는 <인문가치 참여세션>, 세계 석학들의 토론의 장 <인문가치 학술세션>, 일상에서 인문가치를 실천하는 <인문가치 실천세션>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됐다. 총 25개 프로그램으로 진행한 가운데 96명의 발표·토론자가 참여했으며, 약 5,500명의 관객들이 참석했다. 사회적 공감대 안에서 인문(人文)의 뿌리가 서린 안동의 가치가 대중들에게 재조명 받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포럼 첫날인 5일 진행된 기조강연에는 정세균(제20대 국회의장)과 데릴 메이서(미국소브린대학총장)가 생명과 인문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과학과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간본연의 가치에 집중해야하며, 사람이 사람답게 존중받는 세상에 대해 기조연설을 이어갔다.
  인문가치 참여세션은 대중과의 소통을 강조했다. 우리 일상 가까이 있는 영화, 문화, 음식 등과 같은 친근한 소재로 다소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질 수 있는 인문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는 시도가 돋보였다. 영화감독 장항준과 함께 한 영화콘서트를 비롯해 인문학강사 최진기의 문화콘서트, 다양한 패널들이 참여한 토크콘서트, 칼럼니스트 황교익의 특별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함으로써 대중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더욱 폭 넓은 시각으로 인문가치를 바라보게 된 계기가 됐다.
  인문가치 학술세션에서는 세계 15개국에서 석학들이 참여해 국내 석학들과   ‘인간과 자연의 생명공동체’ 에 대해 토론을 펼쳤다. 자연은 훼손 없는 생태공동체를 염원하고, 인간은 올바른 사회공동체로서 생명을 존중하는 인문가치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모든 생명의 어울림을 통한 생명공동체의 공존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인문가치 실천세션에서는 다변화된 풍요 속에서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현안들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삼포세대, 대한민국의 미래’ 세션과 ‘인성교육’세션은 현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들의 실태를 꼬집고,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인문가치에서 모색해 보고 실천하는 자리였다.
  폐막식에서는 3일간의 포럼을 정리하고, <2018 안동선언문>을 채택함으로써 포럼의 마침표를 찍었다.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참가자들은 <2018 안동선언문>을 통해 “생명을 아우르는 삶의 가치를 재 고찰할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자연 속의 모든 생명체와 사물들 사이의 상생적인 관계의 가치를 정립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고, 이 포럼에서 얻은 온전한 인간됨의 지혜를 실천에 옮기는 노력과 인간과 자연의 합일과 화해의 고귀한 이상을 전 세계에 확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선언한다.”고 뜻을 같이 했다.
  한국정신문화재단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결핍을 채우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생태계를 회복하는데 유교적 가치를 품은 안동에서, 인문가치를 함께 고민해 보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지게 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아울러 이번 포럼에서 모아진 성과가 체계적으로 실천되고 전 세계로 확산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안동선언문

  우리는 문명과 현대의 이름하에 부단히 증대되는 물질적 풍요와 고도의 과학기술의 발전을 향유하게 되었다. 동시에 진보와 발전은 오늘날 인류에게 미증유의 인간성 상실과 심지어는 다음 세대에는 인류가 지구로부터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높은 가능성을 논의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우리는 21세기 인문가치포럼에 모여서 인간의 생명과 삶의 세계를 구하기 위한 지혜를 모으는 시도를 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생명을 아우르는 삶의 가치를 재 고찰할 시급한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자연 속의 모든 생명체와 사물들 사이의 상생적인 관계의 가치를 정립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것은 곧 인간됨의 이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인간과 자연 사이에 생태학적, 사회적, 문화적 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 목적을 위하여 우리는 인간중심주의의 좁은 마음을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의 화해와 하나 됨을 통하여 인간의 존엄과 품위를 담보하는 생명과 삶의 도덕적 가치의 지속적 재생산력을 회복해야 한다.
  이에 모든 참가자들은 생명의 근원적인 가치가 생명공동체의 재생을 통하여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였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의 모든 생명체와 사물들이 상호작용과 상호의존 관계에서 결합하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이 포럼에서 얻은 온전한 인간됨의 지혜를 실천에 옮기는 노력과 인간과 자연의 합일과 화해의 고귀한 이상을 전 세계에 확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선언한다.

2018년 9월 7일

제5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참가자 일동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경제"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