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영교 보수두고 시집행부 시의회간 대립

person 김희철기자
schedule 송고 : 2007-06-22 09:55
시의회 공사 중지요청, 책임자 밝히겠다

월영교 보수두고 시집행부 시의회간 대립
의회특위 조사결과도 나오기전 용역발주 말썽
시의회 공사 중지요청, 책임자 밝히겠다

지난 2003년 4월 36억원의 예산을 들여 건설된 총 길이 387m의 월영교가 어처구니 없는 부실시공으로 준공된지 3년만에 통행이 전면 통제되는 사태에 이르고 이를 보수하는 과정도 시집행부와 의회간 절차상 문제가 발생하는등 혼잡양상을 빚고있다.

 

목재선택 방부처리소홀 원인, 의회조사특위 구성

안동댐 헬기장 앞 보조댐을 가로질러 석빙고로 이어지는 월영교는 국내 목재교량 중 최장을 자랑하고 미라로 발견된 고성이씨 아내의 사연을 담아 연인들의 사랑을 이어주는 다리로 지역뿐만 아니라 안동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각광을 받아왔다.

그러나 작년부터 상판과 난간에 부식이 진행되고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해 통행을 전면 통제하는 한편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원인으로는 습기가 많은 곳인데다 분수를 가동함으로 발생한 수분으로 인해 목재가 쉽게 부식되었는데 이를 예측하지 못한 관계공무원과 시공회사측이 목재선택과 방부처리를 소홀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안동시의회는 지방재정의 막대한 손실과 관광안동의 명예가 실추되었다고 보고 원인규명과 완벽한 보수공사를 위해 지난 5월1일부터 ‘월령교 공사관련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위원장 김성구의원)를 구성 업무에 들어갔다. 그러나 조사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시집행부가 보수공사 용역을 집행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집행부 "조사특위결과 기다릴 수 없어 용역집행"

안동시는 지역업체(ㅎ엔지니어링)에 1천8백만원의 예산을 집행하여 용역을 이미 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무부서인 유교문화개발사업단 관계 공무원에 따르면 “9월이 돼야 조사결과가 나오는데 이후 보수공사가 들어가려면 너무 늦고 시민들에게 하루빨리 정상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고 말하고, “7월에 용역결과가 나오면 8월에 보수공사에 들어가는데 공사중이라 하더라도 9월에 특위 조사결과가 나오면 반영하면 될 일”이라 밝혀 앞으로도 의회일정과는 무관하게 진행될 뜻임을 내비쳤다.

이에 김성구특위 위원장은 “특위에서 각계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원인을 분석하고 목재선정 등 대책을 세우고자 하는 것인데 이를 무시하고 서둘러 공사에 들어가려는 의도를 모르겠다”며 “한달이나 진행된 공사 중간에 보완하겠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불가능하고 있을 수 없는 발상”이라 말했다.

시의회 "공사중지요청, 책임자를 가리겠다"

특위에서는 이미 70%가량 조사가 마무리단계에 있고 결과가 나온 이후에 공사를 시작해도 늦지 않은데 시집행부가 절차상 문제를 야기하면서 까지 무리하게 추진 하는데는 업무과실을 조속히 덮으려는 속셈이거나 의회자체를 무시하는 행위라며 격앙된 분위기다.

김위원장은 “문제의 발단이 목재건축에 전문성이 전혀없는 업체나 관계자에 있지 않느냐 그런데 또 다시 토목, 철근콘크리트를 주로하는 업체에 용역을 의뢰한 것은 자신들의 책임을 아직도 모르는 태도”라며 “즉시 공사중지요청하는 한편 원인과 책임을 명백히 밝히겠다”고 말하고 “이번에 알게 됐지만 수없이 많은 목재 가운데 나무 자체에서 방부액이 나오는 목재도 있는데 지금까지 관계자들이 얼마나 무성의하게 일 해왔는지 알아야 하고 제대로 보수하지 않으면 같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 덧붙혔다.

 “책임자 밝히고 20년 가는 다리 만들라”

전문가들에 따르면 목재 교량의 경우 약 15년에서 길게는 20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용상동 우모씨(39세)는“36억이라는 시민혈세를 낭비하고 보수한다고 또 수억원이 들것을 생각하니 기가막힌다. 나무 다리는 15년 이상 간다는데 어이없다. 과실을 따져 책임있는 공무원은 처벌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집행부와 의회가 월령교 보수공사 추진을 두고, 이처럼 의견이 맞지 않은 상황에서는 책임을 밝히는건 고사하고 같은 일이 벌어지지나 않을까 걱정해야 될 처지로 보인다.

조사특위가 꾸려진 이후 시민들은 시의회 역할에 다소 기대를 하는 반응이었으나 이번 불협으로 과연 시의회가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있을지, 또 집행부와 의회간 대립 양상이 어떠한 결과로 이어질지 우려하는 한편 보다 분명한 대책을 바라고 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