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대장증후군

person 동흥한의원 신지섭원장
schedule 송고 : 2018-04-04 08:54

특별한 이유없이 화장실에 너무 자주 가고 스트레스나 업무가 가중될 때 설사나 변비가 생기고 복통이 생기는 장 질환이 나타나면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는데요.
오늘은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지속적인 설사나 변비로 병원을 찾고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는 진단명을 받으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제는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병이 된 것 같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어떤 병인가요?  
 
A: 변비나 설사는 누구에게나 쉽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심코 넘겨버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소화불량과 복통이 심해지고 설사와 변비 때문에 하루에 여러번 화장실에 가야되는 현상이 반복된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x-ray나 대장내시경에서 확인되는 구조적 이상이 없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가 쉽지 않고 또 만성화되기가 쉽습니다. 

 2)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증상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환자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증상이 있을 수 있는데요. 크게 나눠보면 복통, 배변습관 변화, 장내 가스 과다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먼저 복통의 양상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식사 후에 심해지고 배꼽주위 아랫배에서 흔하며 배변 후에 통증이 감소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배변습관의 변화는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나타나면서 잔변감도 있고 하루에 이 때문에 화장실에 2번에서 5번 이상 가게 됩니다. 과도한 장내 가스 때문에 속이 더부룩하고 방귀가 잦으며 복부팽만감이 있는데 이 또한 방귀가 배출되면 팽만감과 더불어 복통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세가지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있을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하부소화기 문제이기 때문에 기능성 소화불량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이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사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다만 악화요인으로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위장관 감염, 잘못된 식습관 등의 원인으로 장관의 감각 및 운동신경의 기능 이상을 초래했다고 보고 치료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의 혈액순환이 악화되면 장의 상피세포의 기능이 떨어져, 영양분의 흡수, 장액 및 점액의 분비 기능도 악화돼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유발된다고 보기 때문에 장의 혈액순환을 회복시켜야 장상피의 재생이 촉진되며, 정상적 장기능이 회복되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치료가 근본적으로 이뤄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4) 과민성 장증후군을 유발하는 음식 같은 것도 있습니까? 주의해야 될 음식은요?
 
A: 과민성대장 증후군은 특정한 음식을 섭취한 후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카페인,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술은 피해야 하고, 합성첨가물이나 조미료가 많이 든 음식도 피해야 합니다. 섬유질이 많은 채소나 과일이 도움이 되는데, 굳이 육류를 먹는다면 채소를 함께 먹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5) 치료적인 부분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요법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한의학적인 원인으로 습열, 비허, 기울, 식적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극적인 음식이나 폭식 음주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장 증후군은 습열이나 식적에 의한 원인으로 분류하고 심한 스트레스나 장기간 앉아 있는 경우 나타나는 장증후군은 기체형장증후군, 비장의 양기가 부족해져서 소화력이 떨어져서 나타나는 장증후군은 비허형 대장 증후군 등으로 분류하고 그에 해당되는 치료법을 하게 됩니다.  

 
6) 과민성 장증후군을 유발하는 음식 같은 것도 있습니까? 주의해야 될 음식은요?
 
A: 무엇보다 규칙적인 식습관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대장에 자극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고요. 당연히 과식과 폭식을 금하고, 규칙적인 식습관 등이 도움이 됩니다. 장증후군을 유발시키는 음식은 개개인적으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식사일지를 서서 유발 음식을 정확히 알아보는 과정도 아주 중요하고요 평소 운동과 명상 그리고, 음악감상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