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대-포항공대 공동 연구팀, 기능성 나노섬유 제작을 위한 새로운 전기방사 기술 개발
국립 안동대학교 안태창(기계설계공학과) 교수와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임근배(기계공학과) 교수, 김건휘 연구원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기능성 전해질을 이용해 전기방사 된 나노섬유(머리카락 굵기의 1/1000 크기)를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나노섬유 제작 방법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과학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인터페이스’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의 표지 논문으로 2018년 3월호에 게재되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기존의 전기방사(전기장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작하는 방법) 기술에서 불가능 했던 부도체 표면에 원하는 형상의 나노섬유를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제작 과정에서 전기방사 된 나노섬유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안태창 교수 연구팀은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해 일시적으로 부도체 표면의 젖음성(wettability)을 조절하여 전해질을 형상화하고 전해질을 나노섬유를 포집하는 전극으로 이용하여 부도체 필름의 두께 및 형상에 관계없이 나노섬유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능성 전해질(폴리도파민, 홍합접착단백질)을 사용하여 나노섬유와 기판 사이에 접합력을 향상 시켰으며, 향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전해질을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기능성을 조절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이 기술은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이용하는 스캐폴드 (scaffold), 바이오칩, 조직공학 (tissue engineering) 분야뿐만 아니라 유연 전자소자(flexible electronic)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논문정보
□ 제목: Electrospinning: Electrospinning Nanofiber on an Insulating Surface with a Patterned Functional Electrolyte Electrode
□ 게재지: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Vol. 5, Issue 5, 1701204
□ URL: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mi.v5.5/issuetoc
□ 저널수준 : SCI, IF:4.279, 분야 상위 20% 이내(Q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