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정보-명치통증, 비만증
Q1. 급하게 체했거나 소화가 안 되어 명치쪽 통증을 느껴보신적 있나요. 위장소화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명치쪽 통증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A: 위가 약하신 분들이나 소화가 잘 안되는 분들 중에 보면 명치나 명치 밑에 답답한 느낌이 들고 소화가 안 되는 느낌이 들고 창만감이 드는 증상인데 배꼽과 명치 사이나 배꼽주변까지도 그런 느낌이 들 때도 있어요. 항상 답답한 느낌이 든다는 분들이 많은데 한의학적으로는 이런 증상을 비만(?滿)이라고 합니다. 꼭 체한 느낌처럼 답답하다고 하지요.
Q2 : 소화가 잘 안되면 가슴이 먹먹하고 체한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명치에 나타나는 통증은 위장의 원인으로 인한 것이 많겠군요?
원인은 비위기능의 허약으로 인하여 소화가 잘 되지 못하는 것이죠. 소화가 잘 되면 괜찮지만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한방에서는 맑은기와 탁한기가 순조롭게 이동하지 못해서 생기는데 탁한 기운은 내려가고 맑은 기는 올라 가야 하는데 반대로 되면 비만증이 생긴다고 봅니다. 그래서 트림만 해도 시원한 느낌이 들지요.
그러면 이런 원인은 왜 생기냐면 신경을 많이 쓰거나 위가 안 좋으신 분들이 과로하거나 피로할 때나 제때 식사를 못하거나 과식을 한다든지 약을 잘못 드셨다든지 연세가 많은 분들이 기운이 너무 없거나 음식을 잘 못 드셨다든지 할때 나타날 수 있어요.
Q3 . 비위가 안 좋은 사람들이 만성적으로 명치가 답답하다는 분들도 있지만 원래 튼튼한 사람도 증상이 나타 날수 있나요?
A: 원래 튼튼한 사람도 비만증이 올수 있습니다. 과식이나 식체로 인하여 생길수도 있고 근심, 걱정,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길수도 있고요. 한의학적으로 기가 울체되는 경우에도 비만증이 옵니다. 그래서 건강하다가도 갑자기 체한 느낌이 들면서 명치가 답답하신분들이 있어요. 만성적인 비만증 환자들은 항상 체한 느낌이 들고 평소에도 잘 체한다고 합니다.
Q4 . 비만증이라고 하니까 살이 많이 찐 비만이 생각나는데 그게 아니라 소화장애로 명치가 아픈 증세를 비만증이라고 하는군요. 명치밑이 답답하고 이럴 경우 한의학적인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A: 명치 밑이 답답하고 체한 느낌이 들고 입맛도 없고 배도 고프지 않고 음식냄새가 올라 오는 것 같고 메스껍고 토할 것 같으면 먼저 습열과 식체를 풀어주는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고, 감기기운과 몸이 추운 증상과 소화가 안 되고 트림을 하면 좋을 것 같은데 잘 안 나올려고 할때는 기가 울체된 것을 풀어주는 한약을 이용합니다.
비위기가 약하여서 오는 중기가 약해진 경우는 중기를 보하고 담울을 제거하는 한약으로 치료합니다. 그리고 신장의 기능이 약하여 생긴 경우는 신장을 보하는 치료를 겸하고, 양기가 허하여 아침보다 저녁에 심한 경우는 양기를 보강하는 치료를 합니다. 몸이 너무 약해져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답답하기도 하고 음식을 제대로 섭취 못 하는 경우는 몸이 수척해지고 배가죽도 얇아지면서 배꼽주변에 맥박뛰는 것처럼 느낄수 있어요.
이럴때는 황기 같은 보기약에 소통시켜주는 사인 같은 약을 처방합니다. 급체로 인한 경우는 사관혈에 침치료만 해도 좋은 효과를 거두는 경우도 많아요.
Q5. 이런 분들이 평소에 조심해야 할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런 분들은 먼저 음식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술이나 과식은 좋지가 않고요. 특히 밀가루 음식이 좋지 않지요. 특히 찬음료나 찬 음식이 제일 좋지가 않고요.
속이 답답하다고 일부러 토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식도나 위장에 부담을 줍니다. 그리고 속이 메스껍다고 속을 푼다고 매운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것도 위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좋지가 않지요. 근심이나 걱정 같은 스트레스도 될 수 있으면 피하시고요.
속이 안 좋으신 분들은 찰밥이 좋고요. 부추나물도 도움이 되고 생강을 설탕에 버무려 두고 조금씩 차처럼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