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도시재생팀, 조직 2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 얻어
안동시가 지난 2014년 조직한 도시재생팀이 조직 2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어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얻고 있다.
도시재생팀은 옥동, 강남, 신도청 등 신도시 개발로 쇠퇴해 가는 안동원도심 기능회복을 목적으로 도시디자인과 내 2명으로 조직을 꾸렸다 현재는 3명으로 늘어났다.
이 팀이 2년 남짓한 기간 동안 얻은 굵직한 성과만 도시재생사업 선정을 비롯해 하늘수목원, 파크골프장 부지 무상확보, 창조지역사업 선정, 새뜰마을사업 등 4개에 이른다. 사업비와 부지금액을 환산했을 때 무려 327억 원에 이른다.
이 팀은 조직 원년인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도시재생 사업에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도시재생을 모토로 도전장을 던졌으나 고배를 마셨다.
그 후 부족한 점을 보강하고 지역주민과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 ‘근린재생형 중심시가지 형’으로 다시 응모해 지난 연말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얻어 냈다. 이 사업선정으로 시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5년간 2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안동시 중구동 일원에 태사로 특화거리 조성, 창업인큐베이팅 지원, 한옥젊음 숙박촌 조성, 음식?문화의 거리 연계 사업 등을 추진하게 된다.
지난 9월에는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가 공동 주관한 ‘창조지역 사업’에 선정돼 7억 원의 사업비를 얻어냈다. 창조지역 사업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이나 모방적 지역개발을 지양해 각 지역이 보유한 특화자원을 활용해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시는 신세동 일원 벽화마을을 주제로 공모해 최종 선정돼 더욱 다양하고 특색있는 벽화마을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
또한, 올해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가 주관하는 새뜰마을사업에 응모해 20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새뜰마을사업은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주거 취약지에 생활 인프라(안전?위생?편의) 개선, 낡은 시설(주택포함) 정비, 문화활동(휴먼케어사업) 추진 등 주민의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에 안막동 범석골 일원의 생활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으로 응모해 최종 선정됐다.
각종 공모사업 뿐 아니라 안동댐 보조여수로 공사 사토장을 활용해 조성된 하늘수목원, 파크골프장 부지 118,087㎡를 국토부로 부터 무상양여 결정을 받아 안동문화관광단지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성과를 얻어냈다. 시가로 치면 무려 1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김도선 도시재생팀장은 “신도청 입주와 함께 신도시 개발이 본격화되면 원도심 공동화를 책임지고 있는 우리 팀의 책임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구도심과 신도심이 상생발전 할 수 있도록 전문가, 지역주민 등과 꾸준하게 머리를 맞대 구도심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