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원 소주를 아시나요?
친애하는 투(TO)양
오늘은 유년시절 첫 소주를 마신 기억이 생각나 편지를 드립니다.
지금은 이미 고인이 되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시쳇말로 주당이셨습니다.
특히 사람 좋기로 유명한 할아버지는 늘 도포에 상투를 올리고 큰 갓을 쓰고 동리를 다니셨죠.
초등학교도 입학하기 전부터 내 임무는 식사 때를 맞춰 할아버지를 찾아 모시고 오는 거였죠.
친구분 댁 대문간에 서서
"할배~ 할배 저녁 자시러 안 가시니껴? 야~아 ?" 하면 "오이~야" 말씀만 하시고 쉽게 자리를 털고 일어나시지 못하는 할아버지를
“할배요~”
“할배요” 독촉하고 또 독촉하면 그제야 못 이기시는 척.
"아따~ 그 놈 참!" 하시며 일어나셨다.
세월아 내월아 하며 걸으시는 할아버지 앞을 촐랑거리며 뛰어다니며 재촉해도 연신 팔자걸음에 시조가락을 뽑으시며 긴 도포자락으로 골목을 쓸며 다니셨죠. 그런 할아버지에게서는 늘 농주 익는 냄새가 났고 그 냄새가 싫지 않았습니다.
식사 때마다 할아버지 턱밑에 앉아 밥을 먹는 건 숫제, 할아버지께서 드시는 고등어자반이 탐이 나서입니다. 밥 위에 곱게 쪄서 낸 고등어자반에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 뽀얀 쌀밥을 볼라치면 침이 절로 꼴딱거렸죠.
나뭇가지처럼 제멋대로 휘어진 할아버지의 손가락은 유년의 나의 가장 큰 궁금증이었죠. 식사를 하시는 할아버지 턱 밑에서
"할배~ 할배~ 있잖아요~ 할배 손은 왜 그렇게 이상해요?" 라고 물을라치면
"이 손가락은 앞산에 사는 토채비를 잡다가 휜 것이고, 이 손가락이 휜 것은 뒷산 호랑이를 잡다가 휜 것이다"라고 말하시며 심한 관절염으로 이리저리 휜 손가락을 보여주셨습니다. 이리저리 쪼물거리는 내가 귀여워서인지 그럴 때면 할아버지의 과장된 이야기는 커졌고, 난 앞산에 토채비가 정말 무서워 할아버지 품에서 농주 익는 냄새를 깊이 들이키며 그 때부터 술을 배우기 시작한거죠.
제가 첫 쇠주를 마신 건, 네 살 때입니다.
그 당시 안동지역에는 제비원소주가 전부이던 시절이었죠. 안동소주 전신인 이 소주의 도수는 40도(? 정확하지 않습니다, 해량하시길)로 금복주(참소주의 전신) 유리병에다 쇠주를 넣어서 팔았다. 배가 아플 때나 회충약으로 쓸 정도로 독한 소주로 지금도 그 아리아리한 맛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훗날 지역 신문사 기자로 일할 당시, 안동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코너를 연재했고, 그 때 정말 30년도 더된 제비원소주를 확인했습니다)
늘 두 홉짜리 소주 한 병을 드셔야 했던 할머니 덕에 나의 조기 술 체험이 가능했던 거었다. 그 날도 아주 맛난 음식처럼 소주를 드시는 할머니 턱밑에서 군침 삼키는 제가 귀여웠던지 할머니는
"너도 한 잔 줄까?" 하셨고
"응" 두 번도 사양 않고 바로 “오케이” 하는 손자에게 쇠주잔을 넘겨주셨습니다. 그리고
'발칵~, 캬~아~ '
그 길로 끝이었습니다.
4살짜리에게 40도짜리 쇠주라니?
기절했다가 배를 작고 똘똘 구르는 손자 때문에 놀라신 할머니, 그 할머니를 원망하는 어머니 사이에 흐르는 긴장감(?), 집안이 벌컥 뒤집히고 하루 온종일 술 몸살을 앓고 나서야 난 술독을 풀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시작한 술마시기는 중학교 들어가면서 본격화되었습니다.
여느 시골 아이들처럼 시골아이들의 막걸리 심부름을 하면서 오며가며 주전자를 빨고 배탈거리며 걸어다니는 것이나, 술떡을 간식 대용으로 먹고 술에 취해 이 구석 저 구석에 쳐박혀 잠을 자는 정도야 시골에서 자란 아이라면 당연한 수순이고 보면 본격적인 술마시기는 역시 중학교 시절로 봐야 할 것입니다.
다행히 할머니에게 일찍이 술을 배운 전력(?)도 있고 하여 술을 마시면 잠을 자는 습성을 배워 술로 인한 큰 사고는 없었습니다. 허나 음주가무를 유난히 즐기셨던 할아버지 할머니의 영향으로 술만 마시면 노래를 부르는 것은 곧잘 사고로 이어졌습니다.
그 대표적인 만행으로 중학교 2학년 여름, 동리 아이들에게 억지로 쇠주를 먹이고 강변에 끌고 가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 그만, 지서(파출소) 앞이라서 지서 순경이 오토바이를 끌고 출동하였고 아이들은 뿔뿔이 논으로 밭으로 숨었으나 이미 동리에 나의 만행은 널리 알려지고 난 후였고 전 그때부터 이미 요주의 대상에 올랐습니다.
*배옥 자유기고가, 시조시인.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