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운하! 우리지역에는 어떤 시설이 적합할까?

person 경상북도청
schedule 송고 : 2008-03-12 18:02
경북도, 경부운하 주변지역 발전을 위한 전문용역 시작

경북도는 경부운하 주변지역의 과학적이며 실효적인발전방안 마련을 위해 전문기관 용역을 시작했다.

도에서는 12일 오후 도청 제1회의실에서 도와 경부운하 구간 8개 시ㆍ군 용역관계관 회의를 열어 공동용역 ‘기관협의체’를 구성하고, 8억 5천만 원의 예산으로 전문기관 용역을 시작했다.
※ 8 시ㆍ군 : 안동,구미,상주,문경,의성,고령,성주,칠곡

이번 용역은 8개월의 용역기간으로 낙동강 프로젝트와 연계한 친환경ㆍ친문화적 운하개발 방안, 내륙항 및 물류시설 개발, 산업단지, 레포츠, 테마, 문화ㆍ관광시설 등의 입지와 구체적 개발방안을 연구할 계획이며, 6월과 9월에 각각 중간연구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도에서는 그동안 경부운하 건설과 관련하여 상주ㆍ문경권 관광ㆍ레저 기업도시, 구미ㆍ칠곡권 수출물류기지, 고령ㆍ성주권에는 물류운하시티 등 권역별로 개발 청사진을 발표한 바 있다.

관련 시ㆍ군 등에서도 도와 발맞추어 전담팀을 구성하고 자체 연구 조사 등을 통하여 지역의 발전방안을 마련하는 등 노력해 왔다.

이번에 연구용역을 시작한 것은 전문기관의 학술적 연구를 통해 그간의 계획을 더욱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당위성과 타당성을 개발하고  그 논리를 가지고 중앙 등에 건의, 또는 자체사업이나 민자추진에 활용함으로써 사업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다.

용역의 주요내용으로는 경상북도의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경부운하 배후지역 발전방안을 마련한다는 주제 하에 다음과 같은 구체적 연구목표를 두고 있다.
- 경부운하 구간의 바람직한 개발방안과 경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내륙항 및 물류시설 개발, 산업단지 개발방안
- 워터테마파크, 문화체험 휴양빌리지, 수변 레포츠공원, 기능성 특화도시 개발방안
- 문화ㆍ관광을 특화로 한 안동운하 개발방안
-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관련한 금호운하 필요성 및 타당성 분석 등

이날 회의에서 박의식 경부운하추진지원단장은 “우리지역에 있어서의 경부운하는 오랜 잠에서 경북을 깨우는 동인(動因)이 될 것이며, 그간 도지사 공약사항으로 추진하고 있는「낙동강 프로젝트」와의 연계로‘줄기(운하)에 잎과 꽃(낙동강 프로젝트)를 다는 격’이 될 것”이라 말했다.

또한, 국토개발 방향을 기존 'L자형 개발‘에서 ‘U자형 개발’을 거쳐 이제는 경부운하를 포함한 ‘W자형 개발’로 추진해서 국가 균형발전과 함께 공동번영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