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예산 증액으로 시민의 다양한 복지욕구 대응

person 안동시 주민생활지원과
schedule 송고 : 2015-01-22 10:10
복지예산 전년대비 9.82% 늘어난 1,953억원 이렇게 쓰인다

  안동시(시장 권영세)는 새해 사회복지분야 예산을 일반회계 세출예산 6,964억원의 28.05%인 1,953억원을 편성해 갈수록 증가하는 시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대응한다.

  안동시의 사회복지 예산은 크게 7개 분야로 나뉜다. 노인복지?청소년 예산이 두드러진 증가 추세를 보여 지난해보다 24.95%가 늘어나 170억원이 증액된 852억원(43.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보육?가족 및 여성분야 373억원(19.0%)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취약계층지원 343억원(17.5%), 기초생활보장 급여액이 258억원(13.2%), 주택 56억원(2.8%), 보훈 36억원(1.8%), 노동 31억원(1.5%) 순으로 편성 운영된다.

  노인복지.청소년 분야에서는 기초연금이 603억 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경로당 지원 28억원, 노인사회활동지원 34억원, 노인시설운영 54억원 등이다.

  보육.가족 및 여성분야에서는 영유아 보육료 및 가정양육비 지원이 234억원으로 가장 많고 여성복지증진에 11억원이 지원되며,

  취약계층지원예산은 기초장애연금 및 수당 80억원, 장애인시설 운영 194억원, 장애인일자리지원 8억원이 지원한다.

  기초생활보장분야는 생계급여 158억원, 교육급여 5억원 등이 편성돼 지원되며, 주택분야는 56억원을 편성해 지원하며, 보훈분야는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건립 16억원, 국가보훈대상자를 위한 지원 수당으로 14억원의 예산을 편성 지원해 생활안정을 도모하며, 노동분야는 공공근로 5억원, 일자리창출 18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올해 6월부터 생활을 감당하기 어려운 분들에 대한 지원수준을 현실화했으며 일할 능력이 있는 분들의 탈수급을 강화하기 위해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맞춤형 급여 체계로 개편된다.

  급여별 특성을 고려, 지원대상자 선정기준과 지원수준을 다층화하고 전체국민의 생활수준 향상 및 상대적 빈곤 관점을 고려해 지원이 가능하도록 지원기준에 중위소득 개념으로 전환되며 부양의무자 기준도 완화해 제도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한다.

  안동시 관계자는 “달라진 복지제도로 올해는 더욱 다양하고 폭넓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해 시민들의 생활이 더욱 풍요롭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해 품격 높은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경제"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