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정보-환절기 알레르기 비염

person 동흥한의원 선지섭 원장
schedule 송고 : 2013-05-14 09:25

1) 알레르기 비염으로 고생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알레르기 비염의 증상과 원인은 어떤것이 있을가요?
 
추운 겨울 뿐만 아니라 봄 여름은 일교차도 심하고 겨울 못지않게 감기, 알레르기 질환 환자들이 많이 힘들어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그 중에서도 비염은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 재채기, 콧물, 코가 막히는 일상생활과 수면에 많은 지장을 주는 염증성 질환으로 결막과 인두의 가려움, 눈물, 부비강염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은 특히 목초, 나무, 잡초 꽃가루와 곰팡이 등에 의해서 야기되는데요. 계절과 상관없는 향년성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와 동물 털에 노출되어 자주 발생됩니다. 이러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특징적인 증상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물질이 코 점막에 닿으면서 신경반사로 코가 간질간질 재채기가 나오고 코 점막 아래에 위치한 혈관이나 분비샘을 자극하여 맑은 콧물이 흐르듯 나오고 코 점막이 부어서 코가 막히게 됩니다.
 
2) 알레르기 비염의 특징이 콧물, 재채기, 코막힘이라고 하셨는데요. 일반적으로 감기가 걸렸을때 나타나는 증상들이 알레르기비염의 증세네요. 알레르기 비염증세를 유사한 질환 증세와 구분해야 될 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감기가 걸렸을때는 보통 누런 콧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가래나 콧물 등이 누렇게 형성되는 반면 알레르기 비염의 콧물은 대부분 맑은 것이 특징입니다.

비염과 많이 혼동되고 있는 축농증은 재채기가 심하고 콧물이 묽고 양이 많으며, 무색인 것이 특징인 비염과 달리 누런 콧물을 수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만성축농증 콧물의 경우는 발병초기에는 끈끈한 점액성이지만, 그 양이 증가되고 곧 고름으로 변하며 악취를 동반하기도 하며 냄새를 잘 못 맡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중이염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빠르고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3) 비염은 콧물이 맑고 축농증은 콧물이 누런 특징이 있군요. 그럼 한방에서는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을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한방에서는 비염 증상을 일으키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을 肺氣虛(폐기허), 肺氣鬱(폐기울), 脾胃濕熱(비위습열), 腎氣不足(신기부족)으로 보며 기본증상 외에도 특징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세가 나타납니다.

첫째, 폐의 기운이 허하면 아침에 일어날 때 피로하고 항상 무기력해 보입니다.

둘째, 폐의 기운이 울체되어 있으면 한숨을 잘 쉬거나 답답해하고 짜증을 내며 소아들의 경우 킁킁거리기도 합니다.

셋째, 비장이나 위장에 열이 있으면 위에서 언급한 肺氣虛(폐기허) 증상에 더해서 배에 가스가 차고 꾸룩꾸룩 소리가 나며 차를 타면 멀미를 잘 합니다. 혹은 재채기 없이 묽은 콧물이나 가려움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넷째, 콩팥의 기운이 떨어지면 손발이 차고 애들의 경우 편식을 한다든지 허약체질이거나 오래된 기침을 달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식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되며 노인의 경우가 많습니다.
 
4) 치료법이나 관리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계절성 알레르기비염은 특정한 항원에 대한 특이한 면역반응으로 나타나는 비염인데, 항원이 무엇인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항원에 대응하지 못하는 몸의 시스템이 문제인 것입니다. 알레르기비염을 유발하는 항원은 인위적으로 없앨 수는 없습니다. 또한 항상 주위에 존재하는 것들입니다. 과민 반응하는 근원적인 몸의 문제를 원인적으로 해결해줘야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해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말씀 드렸듯이 폐기능에서 유발 된 것인지, 비위의 기능에서 유발 된 것인지, 신기능의 약화로 유발 되는 것인지에 따라 그 기능을 보전해 주어야 치료가 가능하겠죠.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