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정보-명절날 급체와 주상
Q1.어제는 새해가 시작되는 음력 1월 1일 설날이었습니다. 설날에 과식, 과음으로 모처럼 휴일이 급체나 술에 상하는 주상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한의학에서 체하는 것. 어떻게 보시나요?
한의학에서 음식에 상한다고 보는 것은 크게 둘로 나뉩니다. 첫쨰는 소화기의 기능이 약해서 소화시킬 능력이 떨어진 것이고, 둘째는 지나치게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이 위장에 부담을 주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첫째의 경우 소화기의 기능을 보해줘야 하는 것이고, 둘째의 경우가 우리가 명절에 흔히 겪는 급체입니다. 막힌 기운을 뚫어주고 , 음식물을 분해시키고 아래로 내려 보내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체하는 것을 한의학에서는 식적이라고 하는데요, 동의보감에서는 ‘식적이란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아 생긴 적(積)인데, 이때에는 배가 더부룩하고 가슴이 답답하다’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Q2.급히 체하는 것이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인데요, 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우선 상복부, 명치아래의 광범위한 불쾌감과 함께 복통이 뒤따르며 경우에 따라 메스껍고
구토가 나거나, 설사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두통이 생기기도 하는데 식체로 인한 두통은 주로 앞머리가 아픈 것이 특징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음식을 더 섭취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음식물 섭취시 상기증상이 더 심해지지만, 간혹 평소 소화기능이 좋았던 분들은 억지로 음식을 섭취하여 강제로 소화시킬 수 있기도 합니다.
음식물이 장 내에 오랫동안 정체함으로써 가스가 발생하여 트럼이나 가스가 많이 나고 더부룩함도 느끼게 됩니다.
Q3.체했을때, 가정에서 할수 있는 처치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네, 엄지와 검지의 뼈가 맞닿는 부분 쪽에 합곡이라는 혈자리가 있습니다. 급체했을 대부분 이 부위가 상당히 굳어 있습니다. 지압 할시에 상당한 통증을 느끼는데요, 이 통증이 사라지도록 천천히 지압해 주시면 가벼운 식체는 내려가기도 합니다.
등의 척추선을 따라 브래지어 끈이 지나가는 부위를 두드리거나, 배꼽 위 반뼘정도 위의 아픈 부분을 따뜻이 하며 마사지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심할 경우 엄지손가락이나 발가락 끝을 따기도 하는데요, 이 방법은 감염이나,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가까운 한의원을 찾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가정에 매실 농축액이 있으면 이것을 따뜻하게 타서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최근에는 한의원에서 알약 형태로 만든 소화제를 많이 구할수 있으므로 상비약으로 두시고 급체시 복용하시면 좋습니다. 단 처음에 말씀드린, 소화기관이 약해서 오는 체기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수 있으므로, 장기간 복용하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Q4.명절에는 오랜만에 만난 지인들과의 술자리도 빠지지 않는데요, 과음으로 인한 숙취도 명절전후로 우리를 괴롭히는 것들이죠? 술, 마실 땐 좋은데 뒷날아침 왜 이렇게 우리를 괴롭게 할까요?
한의학에서 술은 오곡의 진액이고 쌀누룩의 정수로 적당히 마시면 맑고 향기로우며 맛이 좋아 입에 맞고 기를 잘 돌게 하고 혈을 조화롭게 하여 몸에도 좋습니다. 이 때문에 마시는 사람이 지나친 것을 깨닫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술의 성질은 열이많고 올라가는 것을 좋아하기에, 과음시 위장기관의 습과 열을 조장합니다. 그리하여 뒷날 속이아프고 번갈증이 나며 가래가 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습열로 인해 설사를 하기도 합니다. 올라가는 것을 좋아하는 성질 때문에 술독이 상부로 향하여 두통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를 현대의학에서는 간에서 분해되지 못한 아세트아미노펜이란 물질이 두통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Q5. 정말 괴로운 숙취. 빨리 없어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니면 술을 마실 때부터 미리 숙취가 덜하게 할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동의보감에 술 마시는 데서 꺼려야할 것으로 첫째 단 것을 삼가고, 둘째 술을 마신 다음 국수를 먹어서 주독이 빠져나가는 땀구멍을 막히지 않게 해야 하고, 셋째 얼굴이 흰 사람은 혈을 소모하기에 술을 많이 마시면 안 되고, 넷째 술은 해당 술잔으로 3잔 이상 마시지 말아야하고, 다섯째 술 취한 뒤에 음식을 먹으면 위에서 제대로 소화되지 않고 쌓여 몸 안을 탁하게 만드니 숙취 후 음식을 먹지 말아야하고, 여섯째 술에 취한 다음 누워 바람 쐬지 말며, 일곱째 술에 취한 후 달리지 말아야하며, 여덟째 술에 취한 채 성생활을 하지 말아야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술앞에 장사 없다고 하는 말이 있듯이 미리부터 과음을 삼가는 것이 가장 좋은 숙취 예방법일 것입니다.
Q6. 술을 조절한다는게, 마음만큼 쉬운일이 아닙니다. 이미 마셔버린 술, 그리고 찾아오는 숙취, 전문적인 치료의 도움을 받을수도 있나요?
네 한의학에서는 개개인의 체질적 소인과, 술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증상에 맞추어 개별적인 치료를 합니다. 소화기의 습열과 담음으로 인한것, 열이 상부로 올라간것, 번갈 증상 등을 체질에 맞게 구분하여, 이를 제거하는 대금음자, 갈화해성탕 등의 한약과 침치료를 행합니다.
또한 어쩔 수 없이 과음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신선불취단 등의 취함을 예방하는 한약을 음주 전에 복용하도록 하기도 합니다.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