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중 의열각 고유제

person 의성군청
schedule 송고 : 2007-11-20 09:06
응봉 김치중선생을 기리기 위한 의열각을 정비 성역화 사업

의성군은 임란시 왜적과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응봉 김치중선생을 기리기 위한 의열각을 정비 성역화하는 사업을 완료하고 이를 기념하는 고유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번행사는 11월 20일 의성군 점곡면 송내리 228-5 번지 김치중 의열각에서 의성군수를 비롯하여 의성군의회의장, 의성향교 전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김치중 선생은 자는 정이(靜而), 호는 응봉(鷹峰), 관향은 의성(義城)이며,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오직 학문연구와 후진을 양성하던 중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義兵)을 일으켜 100여명의 왜적을 무찌르는 전공을 세웠으나, 건마산성(乾馬山城) 전투에서 숙부 응주, 아우 치화, 치윤, 종제 치홍, 치강 등 일숙오종반(一叔五從班)을 비롯한 많은 의병들과 함께 장렬히 순국하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부인 신씨(申氏)도 자결하였으며, 주인을 잃은 종 서석과 복분이도 투신하였습니다.
 
나라에서는 일문(一門)의 이러한 삼강(三綱)정신을 추앙하여 1609년에 정려(旌閭)를 내렸으며, 1767년에는 의성현령 이 나라의 명으로 묘지를 개수하고 정려각의 현판을 중수한 후 제사를 모셨고, 정삼품의 벼슬인 판결사(判決事)를 증직(贈職)하였다. 1903년에 필만, 사건, 서화 등 후손(後孫)이 정려각을 다시 세웠으나 일제(日帝)가 파손하였으며, 1957년 경상북도와 의성군에서 의열각을 재건하였습니다.

의성군은 김의사 숭모사업회와 지역민의 숙원을 해소하고자, 정려각 단청, 기적비(紀蹟碑) 건립, 주변정비 등 숭모사업을 지원하여 중수(重修)함으로서, 선생의 호국정신과 선비정신을 후세에 널리 알리고 그 유훈(遺勳)을 기리는 역사(歷史)의 장(場)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성"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