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칼럼-코골이의 한방치료

person 동흥한의원 신지섭 원장
schedule 송고 : 2011-08-30 10:39

Q : 많은 사람들이 코를 고는 습관이 있는데요. 코를 골게 되면 함께 잠자는 사람에게 적잖은 피해를 주기도 하는데요. 코골이의 원인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코골이는 숨쉬는 동안 기도를 통과하는 공기가 좁아진 인후부위를 쉽게 통과할 수 없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연령에 상관없이 비염이나 축농증으로 인해 코안이 붓게 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게 되면 코골이가 발생하며, 어린아이의 경우 코 뒤쪽의 아데노이드가 커서 공기의 흐름을 막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의 경우 체중 증가나 운동부족으로 목 주변 근육의 긴장상태가 풀어져 혀가 뒤로 쳐지고 인후의 근육이 측방에서 기도 속으로 이동하면 코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말하자면 코골이는 우리가 숨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지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 수면시 호흡곤란이 있음을 나타내는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Q : 코를 곤다는 것은 수면시 호흡곤란이 있음을 나타내는 증상이군요. 심하면 수면무호흡증 이라는 것도 있다면서요?
A 잠자는 동안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코고는 소리가 나게 되는 것입니다. 한편, 수면 중 근육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 기타 원인으로 인해 공기통로가 완전히 막히게 되면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무호흡증 이라고 합니다. 

Q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수술 하는 경우도 볼 수 있는데요. 한방치료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A한의학에서 코골이는 단순히 숨이 통과하는 부분이 좁아져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코를 고는 경우는 물론 목젖이 늘어지거나 턱관절의 이상 또는 소아의 경우 아데노이드 비대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이런 구조적인 이상 외에도 목주변, 코에서 목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기능적 이상 또는 순환장애에 의해서 코골이가 일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질환 즉 비염이나 천식이 잇는 분들의 코골이 같은 경우는 비염치료나 천식 치료에 준해서 치료를 하고요, 순환장애 같은 것은 코에 해당되는 경락을 침과 뜸으로 자극하여 치료를 하게 됩니다.

Q : 비염이나 천식 같은 일반적으로 치료가 더딘 질환 같은 경우는 생활 관리도 중요할텐데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생활 관리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이러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방법이나 생활습관에 변화를 줌으로써 개선될 수 있습니다. 우선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인데요. 이렇게 하면 인후부의 구조물들이 뒤로 미끄러져 공기 통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술과 약물을 금하는 것인데요. 특히 술은 수면무호흡증을 촉발시키거나 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코골이가 심하거나 무호흡증이 있는 분들은 수면 4시간 전에는 꼭 금주하기를 권해 드리고 싶네요.  진정제, 수면제 그리고 항히스타민제 같은 약물은 호흡을 느리고 얕게 하며 평상시보다 인후 주위 근육들을 이완시켜 공기 통로를 막게 됩니다. 
또한 체중을 줄이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과다한 체중은 목조직과 폐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호흡을 더 힘들게 만들기 때문이죠. 

Q : 코골이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들이 많군요.
A 코고는 소리 때문에 아내가 같은 방에서 잠을 자지 못한다", "잠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두통이 있다", "낮에도 졸려서 일을 하거나 운전하는데 방해가 된다"등의 증상으로 코골이나 무호흡증은 삶의 질을 위해서도 반드시 호전 시켜야할 질병입니다.
장기간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심장과 폐에 부담을 주게 되어 고혈압이나 부정맥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므로, 코골이는 대인 관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에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중을 감량하고 비염이나 코질환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주어 폐의 기운을 건강하게 유지하여야 호흡이 편안해 지게 되겠습니다.

* 한방칼럼은 동흥한의원의 신지섭 원장님이 연재합니다. 동흥한의원 054-859-2521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방칼럼"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