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속이야기 - 선어대에 얽힌 이야기

person 박장영
schedule 송고 : 2010-09-09 10:57

1. 선어대란?

선어대는 시내에서 안동대학을 가는 도중 용상동에서 반변천이 굽이쳐 흐르는 모퉁이를 말합니다. 안동 8경중에 하나인 선어대는 현재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아름다운 옛 모습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2. 선어대에 얽힌 이야기

옛날 40이 넘도록 장가를 들지 못한 머슴이 이곳에서 살았습니다. 이 노총각은 마음씨가 단순하고 우직하나 이웃사람들에게 인색한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언제나 머슴살이를 해도 섣달그믐께 그 집을 나올 때면 겨우 남은 것은 떨어진 목도리와 버선 밖에 없으니 이듬해 또 남의 집 머슴살이를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가난에 머슴은 장가드는 일이 아득하기만 하여 어느 날 차라리 죽어 버리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고 인기척 없는 밤중에 강물이 굽이치는 언덕에 앉아 하늘을 보았습니다. 하늘은 검푸른 비단처럼 맑았고, 달은 중천에서 잠든 만물을 따뜻이 비추고 있었습니다. 장가도 못가고 죽는다고 생각하니 갑자기 목이 메었으나 사는 것 또한 막심한 고생이라 눈을 지그시 감고 깊은 강을 행해 몸을 날렸습니다. 순간! 누군가 손을 탁 잡는데 꽃잎처럼 부드러운 감촉이었습니다. 죽어서 용궁에 왔나? 아직 이승인가? 어지러운 중에 슬며시 눈을 뜨니 아리따운 여인이 손목을 잡고 있지 않은가! 섬섬옥수 고운 손결에도 가슴이 뛰었지만 달빛아래 은은히 미소 짓는 여인은 그대로 천사였습니다.

 "여보시오 당신은 누구요?" 머슴은 얼떨결에 물었습니다.
 "소녀는 바로 이 언덕 아래 소에 있는 잉어이온데 낭군의 탄식소리를 듣고 나왔습니다." 은쟁반에 구슬 굴리는 듯 낭랑한 목소리였습니다.
"나는 이미 죽으려고 결심한 터인데 왜 나를 붙잡으시오"

처음 만져본 여인의 손이나 단호히 뿌리쳤습니다. 그러나 여인은 다시 덥석 잡으며
 "젊은 나이에 죽다니요 아니 될 말씀입니다"
 "젊어도 뜻대로 되지 않으니 죽을 수밖에 도리가 있소?"
 "아닙니다. 낭군님! 좋은 도리가 있습니다. 소녀가 시키는 대로 해주시면 틀림없이 소원이 이루어집니다."

 머슴은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말에 귀가 번쩍 뜨였습니다.

 "그래 무엇을 하란 말이요?" 여인은 다시 한 번 방긋 웃으면서
 "지금 소녀는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르려는 중인데 저 위의 소(임하소)에 또 한 마리의 용이 있어 소녀가 하늘로 오르려는 것을 번번이 방해하였습니다. 아무리 싸움을 하여도 승부가 나지 않아 여태 이러고 있습니다. 내일 여기서 소녀가 용으로 화하여 하늘로 오르려면 필경 저 위의 임하룡과 맞붙어 싸울 것입니다. 낭군님은 그때 크게 ′야 이놈의 용아!′하고 소리만 쳐주시면 됩니다. 그 소리에 임하용이 한눈을 팔면 그 용을 물어 죽이고 하늘로 오를 수 있습니다."

머슴은 껄껄 웃으며

 "그까짓 일이야 너무 쉽지 않소. 그렇게 하지요" 하고 승낙했습니다.

이튿날 밤 머슴은 그 물가 언덕으로 나갔습니다. 갑자기 구름이 모이고 물이 용솟음치더니 어둠을 뚫고 하늘로 올라가는 용이 보였습니다. 뒤이어 저 위에서도 시뻘건 불덩이와 함께 하늘로 오르는 것이 보이더니 번개가 치며 천둥이 요란했습니다. 이 무시무시하고 엄청난 광경을 본 머슴은 그만 그 자리에 까무러치고 말았습니다.

선어대용은 무슨 소리가 날까 아무리 기다려도 기척이 없자 싸움을 포기하고 내려오니 머슴은 기절해 있는 것이 아닌가! 이리 저리 주물러주자 머슴은 깨어났습니다.

 "어찌된 일이옵니까?"
"어찌되다니요, 싸움을 보다가 그만......."

여인은 빙그레 웃음을 띠우며  "그럼 내일은 꼭 부탁 하옵니다"하고 사라졌습니다.

다음 날 자정이 되자 두 마리의 용은 어제처럼 한데 얽혀 무서운 싸움을 시작하였습니다. 싸움이 한창일 때에 무서움에 온몸을 덜덜 떨며 "야! 이놈의 용아!" 하고 있는 힘을 다해 외쳤으나 모기소리 정도가 되었을까? 그래도 보람이 있어 임하소의 용이 한눈을 팔자 선어대용은 날쌔 게 그 목덜미를 물어뜯고 말았습니다.

싸움에서 승리한 용은 어느새 사람으로 변해 머슴 앞에 내려와 공손히 사례를 올렸습니다. 그리곤 "소녀는 이제 승천을 하겠사오니 낭군님은 급히 짐을 꾸려 뒷산 높은 봉으로 올라가시면 약속을 지키겠습니다."

머슴은 서둘려 뒷산에 오르자마자 큰 비가 쏟아져 내렸습니다. 순식간에 내가 범람하여 온 들이 잠기고 천지는 물바다가 되었습니다. 비가 그치고 날이 새자 넓은 들판이 시원스레 펼쳐져 있었습니다. 머슴을 눈을 의심하였지만 그건 바로 머슴의 땅이었던 것입니다. 머슴은 평생소원이던 넓은 토지를 얻어 농사를 짓게 되었고 장가도 들어 행복하게 살게 되었습니다.


3. 마씨의 들

그 후 머슴이 농사를 짓던 그 넓은 들판을 이 머슴의 성이 마씨였으므로 마씨의 들, 즉 맛들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4. 용상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고 용상이라고 합니다.


5. 선어대
잉어가 사람으로 나타난 물가 언덕이라고 선어대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뷰/기고"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