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아침 메뉴로 언양식 불고기를 제공했습니다. 우리가 이른바 '~식'이라고 하면 흉내, 모방한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원조가 아니라는 것이죠. 흔히 보는 음식점 간판 앞에 '원조'라는 말도 그 집만이 진짜라는 것을 강조하잖아요. 어찌되었건 아침 메뉴로 제공한 불고기는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고기를 잘 먹지 않던 여학생도 잘 먹었다는 것이 그 증거라 할 수 있겠네요. 흉내낸 언양식 불고기는 아래와 같이 만들어졌습니다. 급식메뉴로는 공정이 많아서 어렵다고 생각하겠네요. 제가 해본 결과로는 혼자서 100인분은 충분히
2011-04-27
음식문화지도 (12건)
지난 12년동안 머리 속에서만 맴돌던 생각을 실행으로 옮기려고 결심했습니다. 도시락(단체급식)에서 가공식품을 배제하는 노력에 대한 것입니다. 주로 쓰이는 가공식품들은 축산물가공품의 유형에서 분쇄가공육제품류 등입니다. 저희가 주로 사용하는 제품들은 롯데햄의 미트볼, 햄버거스테이크, 웰스토리(삼성에버랜드)의 떡갈비맛경단 등으로 약 5~6종에 해당됩니다. 월간식단표에서는 위의 제품들은 1회씩만 제공하려고 신경을 써서 구성했는데, 가공식품을 뺀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월 1회로 줄이는 노력을 지금 하고 있습니다. 저희로서
2010-12-23
<뉴욕타임스>마이클 폴런 기자는 "우리 음식은 지난 1,000년보다 지난 30년 동안 더 많이 변했습니다. 우리네 할머니들은 지금 우리가 먹는 음식 대부분을 알지 못할 것이며 필요 없다고 생각할 겁니다."라고 했다. 그의 말이 맞다. 우리 조상들은 형광생을 띤 마시는 요구르트와 자동차 음료수 홀더에 잘 고정할 수 있도록 '쉐이커'에 담은 샐러드를 보며 어리둥절해할 것이다. 1960년에는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의 대부분을 음식을 만드는 데 썼다. 미국 가정은 식생활에 매일 평균 15달러를 썼고, 식탁에 둘러 앉아서 식사하는 데 130분
2010-11-24
요즘 사업 상황이 변동이 심해 머리가 지끈지끈합니다. 학원시즌이 끝나게 되면 겨우살이 준비를 해야하는데, 건설사업체 케이터링, 축제 케이터링 등 외에는 딱히 결정된게 없어 노심초사합니다. 이러는 제게 무의도에서의 낚시는 지친 심신을 달래주는 즐거움입니다. 가족과 함께 가서 낚시한 것으로 아이 회를 떠주고, 지리 끓여먹으며 단촐한 시간이 여러가지로 미안한 가족에게 해 줄 수 있는 선물이라고나 할까요? 그래서 낚시할 때, 아주 집중해서 하게됩니다. 9월 초에 벌초하러 갔을 때, 처음으로 30cm급 광어를 잡았고, 한마리는 들어올리다가
2010-10-06
작가 김계완 출판 살림LIFE 발매 2010.07.30 평점 무의도에 가면 항상 가족과 숯불구이를 해먹습니다. 고기도 굽고, 생선도 굽고, 고구마도 구우며 함께 하는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고기 굽는 일은 제 몫이죠. 가족을 위한 상차림을 내가 해준다는 것이 때론 뿌듯하기도 합니다. 숯불에 굽는 고기는 일반 가스불에 굽는 것보다 몇 배는 더 맛있습니다. 그 이유가 뭘까 생각해 보니 참나무 숯향이 고기에 베어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언양식 불고기를 숯불에 구워서 먹었는데, 정말 맛이 있었습니다. 다진 고기를 굽는 햄버거 스테이
2010-09-22
농업 앞에 친환경이라고 타이틀이 언제부터 붙었을까요? 대량 생산체계 이데올로기가 자리잡던 때, 이후로 생산량은 증가했지만 생산성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습니다. 대량 생산체계를 만든다는 것은 한 곳에서 많은 것을 생산하기 위해 농지를 개간하고, 치수계획을 세우고, 헬리콥터와 콤바인으로 농사를 짓는 것이죠. 미국의 넓디 넓은 옥수수 농장을 상상하시면 될 것 같네요. 생산성 문제에 대한 지적으로 전문가의 글을 인용해 봅니다. [지구적 사고 생태학적 식생활] 호세 루첸베르거·프란츠 테오 고트발트 지음 / 홍명희 옮김 북미자유
2010-09-15
내 아이가 마시는 음료수의 진실(SBS 뉴스추적 2010년 8월 25일 수요일 밤 11시 방영) SBS 뉴스추적 2010년 8월 25일 수요일 밤 11시 방영된 내 아이가 마시는 음료수의 진실편을 보았습니다. 음료수 중독에 빠진 아이들에 대한 뉴스추적, 부모 입장에서 꼭 봐야할 것 같습니다. 매년 여름마다 음료수 판매가 급증한다고 하고요, 기능성 음료도 많이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른바 물장사의 힘을 볼 수 있는 대목이죠. 38개월 25kg인 아이를 취재하는 영상을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이런 아이를 위한 유
2010-09-01
식품공전에 액상과당에 대한 유형 설명으로 "전분을 당화, 여과, 정제, 농축하여 얻은 포도당액이나 포도당을 이성화한 것 또는 설탕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것을 농축한 액상의 것을 말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결정화하여 건조시킨 것이 결정과당이라고 하는군요. 우리가 먹는 식품들에는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식품표시기준에 따라 작성하게 되어있는데 이것이 없는 판매되는 식품들은 불법, 불량식품인 것이죠. 얼마전 아이와 어느 마트의 놀이방에 가서 함께 놀았는데, 그곳의 냉장고에 "어린이용 음료"라고 쓰여있었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2010-08-25
패스트푸드의 제국 에릭 슐로서 지음 | 김은령 옮김 에코리브르 2001.08.20본문보기 평점 인상깊은 구절 여러분은 유리문을 열고, 에어컨에서 나오는 시원한 바람을 느끼며 안으로 걸어들어가 줄을 서서 주위를 둘러볼 것이다. 주방에서 일하는 아이들과 앉아 있는 손님들을 살펴보며 최신 장난감 광고를 들여다보고, 카운터 위에 위치한 컬러 사진들을 보며 골똘히 생각할 것이다. 그 음식들이 어디서부터 왔고,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패스트푸드 음식을 하나 살 때마다 그 이면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또 이 음식이 만들어내는 길고 짧은
2010-08-18
독소 윌리엄 레이몽 지음 | 이희정 옮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05.17평점 인상깊은 구절 열독중입니다. 완독 후에 입력할께요. 읽는 중에 베끼고 싶은 글이 있어 여기 소개합니다. #29 식품도 대량생산품으로 만들어라 <뉴욕타임스>마이클 폴런 기자는 "우리 음식은 지난 1,000년보다 지난 30년 동안 더 많이 변했습니다. 우리네 할머니들은 지금 우리가 먹는 음식 대부분을 알지 못할 것이며 필요 없다고 생각할 겁니다."라고 했다. 그의 말이 맞다. 우리 조상들은 형광생을 띤 마시는 요구르트와 자동차 음료수 홀더에 잘 고정할 수
2010-08-10